한국의 통상정책과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해 질문드려요.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한국의 위치를 강화하기 위한 통상정책의 방향과 이에 따른 산업별 영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산업별 영향은 다양하겠지만, 주요 산업으로는 IT, 자동차, 화학, 조선, 의료 등이 있습니다. 통상정책의 강화로 인해 수출이 증가하고 기술 혁신이 활성화되면 해당 산업의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가치사슬이라고 하는 것은 GVC(Global Value Chain)라고 하는데,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기업들의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이에요. 우리나라가 GVC에서 위치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결국 고부가가치 산업과 핵심산업의 역량 개발에 주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R&D자금의 지원이나 핵심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해요
개인적으로 장사를 해도 사람들이 물건을 사주지 않으면 망합니다. 어려워지죠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말은
외국에 의지를 한다 기댄다 라는 뜻입니다. 무역은 무역대로, 내수는 내수대로 안정적으로 잘 돌아가야 할거 같습니다
또한 중소기업들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말고 신기술, 수출할수 있는 기술 연구도 필요해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 주도형 국가로서 강대국들의 외교 관계에서 중립적 외교를 추구하여 이익을 최대화 하여야 하며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외교 방안을 수립해서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외교 정책을 추구하여야 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수출 주도형 국가로서 제조업 IT 고부가가치 산업을 위주로 수출 주도형 성장 국가로서 계속해서 발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