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

지구본이 기울여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자전축 기울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지구본은 기울여져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처럼 자전축이 기울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지구본을 기울여 만듦으로써 더 정밀하게 알 수 있는 지식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말씀대로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축에 비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본도 그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자전축 기울어진 정확한 이유는 알기 어렵지만, 태양계가 생성될 당시에 여러 충돌등이 이뤄지면서 자전축에 영향을 주게 되었고, 우연의 영역으로 결정되었을 것 같네요.

    그런 의미에서 태양계 행성의 자전축은 모두 제각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이유는 태양계 형성 초기에 있었던 거대한 천체 충돌 때문이라는 가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이 충돌은 지구의 자전축을 현재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지구는 계절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약 45억 년 전, 지구가 형성된 초기 단계에서 화성 크기의 행성인 '테이아'가 지구와 충돌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이 충돌로 인해 지구의 자전축이 약 23.5도 기울어졌고, 그 결과 지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자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충돌로 인해 지구 주위에 달이 형성되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계 형성 초기에는 여러 천체들이 불안정한 궤도로 움직이면서 충돌과 상호작용을 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구본을 약 23.5도 기울여 만듦으로써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가져오는 다양한 현상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지구본을 통해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주요 개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전축의 기울기로 인해,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면서 계절 변화를 경험합니다. 지구본을 기울여서 만들면 이 계절 변화의 원리를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 하지 때는 북반구가 태양을 더 직접적으로 받으며, 북반구의 태양 고도가 높아지고, 하루 동안 태양이 떠 있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겨울철 동지 때는 남반구가 태양을 더 직접적으로 받으며, 북반구는 태양 고도가 낮아지고, 밤이 길어집니다. 지구본의 기울기를 통해 이러한 태양의 남중고도와 일조 시간의 변화를 쉽게 설명할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기온이 변하는 이유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전축 기울기로 인해, 지구의 특정 위도인 북회귀선(북위 23.5도)과 남회귀선(남위 23.5도)에서는 하지와 동지 때 태양이 머리 위에 수직으로 비추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지구본의 기울기를 통해 북극과 남극에서 나타나는 백야와 극야 현상을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하지 때 북극에서는 태양이 24시간 동안 떠 있으며, 이 현상을 백야라고 합니다. 반대로 남극에서는 극야가 나타납니다. 동지 때 북극에서는 태양이 24시간 동안 지평선 위로 뜨지 않는 극야 현상이 발생합니다. 지구본의 자전축 기울기를 통해 태양 고도가 위도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적도와 극지방, 그리고 중위도에서 태양이 어떻게 다른 각도로 비추는지 설명할 때 지구본이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