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탑의 전선은 굉장히 멀리멀리씩 떨어져 있는데 어떻게 전선을 연결 한 건가요?
차에서 밖을 보니 철탑 간 거리가 몇백미터가량 되는데 전선의 무게가 상당할텐데 그 먼 거리를 어떻게 연결한 걸까요? 무슨 장비라고 이용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철탑 사이의 거리가 멀고 전선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전선을 연결하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습니다. 이러한 작업에는 주로 활선 작업차라는 특수 장비가 사용됩니다. 활선 작업차는 고압선에 직접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절연된 작업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크레인 기능을 통해 무거운 전선을 안전하게 들어 올리고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압착기를 이용하여 전선의 끝부분을 단단하게 압착하여 접촉 저항을 줄이고 안정적인 연결을 해줍니다
안녕하세요.
먼 거리의 철탑간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비 및 방법들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드론 또는 헬리콥터나, 풀러와 텐셔너와 같이 전선의 장력을 조절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고., 크레인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철탑 사이의 전선은 헬리콥터나 드론 같은 항공기를 사용하여 설치됩니다. 초기에는 경량의 파일럿 와이어를 먼저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통해 무거운 전선이 당겨져 철탑 간에 연결됩니다. 이 과정에서 중량과 장력을 견디기 위해 철탑 구조물과 특수한 장비가 사용됩니다. 전선의 장력과 처짐을 계산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철탑 사이의 전선을 연결할 때는 여러 가지 장비와 방법을 사용합니다. 먼저, 드론이나 헬리콥터를 이용해 전선의 초기 끌기를 수행하는 방식이 흔합니다. 드론이나 헬리콥터로 작은 파일럿 와이어를 철탑 위에 걸친 후, 그것을 통해 실제 전선을 당겨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때 전선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견고한 절연체와 지지 장치가 설치됩니다. 또한, 전선 설치 작업은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전선이 안정적으로 연결되고 유지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철탑의 전선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절연체와 장력 조절을 통해 안정적으로 연결됩니다. 클램프와 브래킷을 사용하여 전선이 절연체에 고정되며, 철탑과 전선 시스템의 설치 및 점검 과정은 전문적인 기술과 장비를 필요로 합니다.
대표적인 장비는 전선 장력조절기가 필요하고 그외 크레인 /연결기 / 연선 기계 등이 필요합니다
답변에 도움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