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는 다른 물에사는 어류와 달리 아가미가 발달되지 못햇을까요?
고래는 특이하게 숨을 쉬기 위해서 한번씩 물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어류와는 달리 아가미가 발달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잇는데 왜 이런 모습으로 진화되어온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고래는 포유류로써, 육상으로 진출했던 척추동물이 다시 해양으로 진출한 경우인데요.
수중에서 산소량은 육지에서의 산소량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그래서 고래의 크기를 감안하면 아가미로 호흡하려면 아가미 크기도 매우 커야합니다.
아가미로 수중의 용존산소로 호흡하는 것 보다는 폐의 효율이 더 좋기 때문에
아가미가 생기는 것보다는 폐를 사용하고 다른 기능들이 이를 보조할 수 있게 바뀌는 것이 더 적합했을 것입니다.
또한 아가미는 바닷물이 계속 체내로 들어와야 호흡이 가능하기 때문에
삼투조절의 측면에서도 오히려 에너지를 추가로 소모해야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고래는 물고기와 달리 비닐이 없고 아가미가 없기 때문에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없습니다. 대신 진화하면서 숨을 오랫동안 참을 수 있게 되었고, 숨을 쉬기 위해서는 수면으로 올라와야 합니다. 아무래도 고래가 물고기와 달리 아가미가 없는 이유는 본래 약 5천만 년 전에는 육상동물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고래는 원래 육지에서 살던 포유류에서 진화했기 때문에 아가미 대신 폐를 사용합니다. 약 5천만 년 전, 고래의 조상은 육지 생활에 적응된 포유류였지만 점차 바다로 돌아가는 진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 과정에서 폐 호흡을 유지했는데, 이는 산소를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깊은 잠수와 장시간 수중 활동에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아가미로 전환하는 것보다 기존의 폐 호흡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진화적으로 더 유리했던 것입니다. 그 결과, 현재의 고래는 물 위로 올라와 숨을 쉬어야 하지만, 깊은 바다에서도 오랫동안 활동할 수 있는 독특한 해양 포유류가 되었습니다.
고래는 수중에서 숨을 쉬기 위해 정말 특이한 방식을 가지고 있어요. 고래들은 머리 위에 작은 구멍인 노즐을 가지고 있어서 수면으로 올라와서 숨을 쉬게 됩니다.
이러한 특이한 숨쉬기 방식은 수중에서의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라고 볼 수 있어요. 고래의 조상들은 육지에서 수중으로 이주하면서 서서히 수중 생활에 적응하며 변화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가미는 주로 물고기들이 수중에서 호흡하기 위한 장기로 발달한 것이지만, 고래는 이와는 다른 진화적인 전략을 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의 고래들은 노즐을 통해 물 위로 올라와서 숨을 쉬는 방식을 택하면서 수중에서의 생존에 더 적합한 형태로 진화해왔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래의 조상은 육지에 있는 동물이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래는 포유류이기 때문에 아가미가 아닌 폐로 호흡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