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혈관에 좋은 식재료중에 하나인 양파를 좋아 합니다.

양파로 만든 음식은 모두 좋아하여 즐겨 먹고 있는 식재료인데..

주말에 혼자여서 양파와 식은밥으로 뽁음밥을 해 먹는데..

양파를 잘게 썰어서 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볶기시작하는데...

하얀색이든 양파가 열을 가하니 누렇게 변하는데..이는 양파의 어떤 성분이 열에 의해 변한 것 같은데..

이렇게 열을 가함으로써 양파의 성분이 바뀐것인지요? 어떤 작용이 있었던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열을 가한다면 영양소 파괴는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양파속에 있는 핵심 영양소인 퀘르세틴이란 영양소는 비교적 열에 강하기 때문에 영양파괴는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양파의 당성분에 열을 가하면 크게 4가지 변화가 일어난다.

      첫째, 열을 가하니까 양파의 수분이 날아가 부피가 줄면서 양파에 있는 당의 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더 달아지는 것이다. 둘째, 양파에 열을 계속 가하면 양파 속에 있던 당분이 더 작은 단위로 쪼개진다. 양파에도 올리고당이 들어있는데 그나마 있던 올리고당도 열에 의해서 설탕, 과당, 포도당으로 쪼개진다. 그리고 원래 있던 설탕 맥아당도 더 쪼개져서 포도당, 과당으로 바뀌게 된다.

      셋째, 아주 적은 양이긴 하지만 양파에 있던 황화합물이 열에 의해서 단 맛을 가진 성분으로 살짝 변해서 더 달아지는 것이다. 넷째, 양파에 풍부한 설탕, 맥아당, 과당, 포도당이 열을 받으면서 캐러멜화 되어 색깔이 캐러멜 색이 되는데 이것은 엿을 만드는 과정과 동일하다. 맥아당이 풍부한 식혜를 끓이면 조청이 되고 더 끓이면 엿이 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양파의 특이적인 매운맛 성분으로 propy1 allyldisulfide 및 disulfide 등이 있는데요.

      이 성분은 열을 가하면 기화되나 일부는 분해되어 설탕의 50배의 단맛을 내는 propylmercaptan을 형성하게됩니다. 이것이 양파를 익히면 투명해지면서 단맛이 증가하는 원인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