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하는데 대한민국은 어느 정도 경제상황인가요?
요즘 물가가 많이 오른걸 체험하고 있습니다.물가가 오르면 불경기가 찾아오는것 같은데 현재 대한민국은 심한 불경기 인가요? 혹자는 IMF시대 오기전이랑 비슷하다고 한던데 어떤 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한국, 일본 등 주요국의 물가 수준은 작년 초부터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고 지금도 지속해서 올라가고 있어 향후 상당 기간 동안 고물가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값싼 중국산 유입이 줄었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장기화로 국제 곡물가 상승, 러시아와 서방의 갈등으로 인한 천연가스 등 난방 에너지 가격 상승 및 OPEC의 감산 등으로 국제 유가도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금리 수준도 높아 전반적인 생활 물가 자체가 높은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2%대가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하는데, 다만 지금의 상황이 IMF시기와 비교하는 이들이 있지만 IMF시기는 외화가 급속도록 감소하고 기업들의 경쟁력이 악화되었지만 지금의 경우에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것이다 보니 IMF와 비교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어 보여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심한 불경기는 아닌거 같아요 심한 불경기라면 기준금리 인하를 하여 경기부양을 해야하는데 요즘 기준금리는 계속 동결중이거든용!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코로나 시기에 낮은 금리로 대출이 많이 이루어져 있고 과도한 통화 정책으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아진 현상이기 때문에 앞으로 금리는 계속 오를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현상은 대출 이자를 더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경제 주체들에게 매우 과도한 부담이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2.6%에 해당합니다.
IMF 외환위기 당시 경제성장률은 -5.1%를 기록하였으며,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한 고금리 기조로 현재 경제성장률이 많이 둔화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 불경기라고 볼 수 는 있으나
IMF당시에는 실업률이 10%가 넘는 등 그 시기와
비교하기에는
개인적으로는 무리가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