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행성들과 다르게 지구상에 물이 생기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십니까.
지구상에는 다른 행성과 다르게 물이 있어 생명이 진화하고 발전할 수 있었는데요.
문득 궁금한데 지구에만 물이 생기게 된 원인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지구의 물의 형성과정은 정확히 알지는 못합니다. 지구가 형성될때 포함된 원소들에 의해 생길수도 있고, 외부 천체와의 충돌하면서 물이 공급되었다는 의견도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계에서 골디락스 존(생명가능지대)이라고 불리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적절한 거리(온도)에서 위치해 있어 태양에서 너무 가깝지도 또한 너무 멀지도 않아 물이 얼거나 증발하지 않고 액체 상태로 존재하지요~ 지구는 적절한 크기와 중력을 가지고 있어, 대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대기는 지구 표면의 물을 지키고, 기체 형태로 증발한 물을 다시 액체로 응축시켜 재순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합니다. 중력이 너무 약하면 대기가 우주로 빠져나가게 되고, 반대로 중력이 너무 강하면 대기가 너무 두꺼워져 기체 상태의 물이 유지되기 어렵게 되는 것이지요~ 지구가 형성되는 초기 단계에서, 혜성, 소행성, 미행성체 등과 같은 천체들이 지구에 충돌하면서 물을 지구로 가져왔다는 이론도 있으며 이 천체들은 태양계 외곽의 차가운 지역에서 기원하여, 얼음과 휘발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초기 지구의 내부는 매우 뜨거웠고, 활발한 화산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지구 내부에 있던 수증기와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이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로 변해 지표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구는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태양풍으로부터 지구의 대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태양풍이 대기를 벗겨내면, 물이 증발하여 우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자기장이 없는 행성(화성)은 물을 유지하기 어려운 반면, 지구는 자기장 덕분에 대기를 보호하고 물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이지요~ 지구의 물은 단순히 한 번 생겨난 후 그대로 유지된 것이 아니라, 대기, 해양, 지표면의 화학적 및 지질학적 순환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재순환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이 지구의 생태계를 유지하며, 물이 일정한 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