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지 수술비용 및 입원비용의 기준은 뭔가요?
얼마전 심한 경련을 일으켜 일주일 입원하고 응급처치..자세한 처치는 모르겠고 암튼 수백만원 결재하였습니다. 그 기준이 있나요? 의료수가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반려동물은 의료수가가 따로 기준은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 그 틀이 잡혀나가는 단계로 알고 있고 주변 동물병원이나 혹은 동물병원의 규모별로 따졌을 때 각 의료 행위에 대한 해당금액 이상 가격이 책정 시 과태료 발생 같은 것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처치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경련 및 응급처치를 했을 경우 규모나 많은 수의사의 성향으로 봤을 때 보호자분의 동의를 구하고 심폐소생술을 하던 응급약물을 투여헀을 겁니다.
또한 많은 보호자분들이 동물진료비용이 비싸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국민 건강보험 공단에서 소득별로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1년에 보험료 일반 세후 300 이상 받는 직장인 기준으로 170씩 나라에서 거둬가는데 그런 보험제도 없으면 사람의료 비용이 동물의료 비용보다 1.5배는 비쌀겁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질환의 심각도와 양상, 실존적인 원인에 따라 비용 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천만원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또한 거주지역의 인건비, 임대료, 물품 유통비용, 장비 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수가제 등 통일적인 비용을 만들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담합으로 규정하여 법적 처벌을 받기에 통일된 수가는 만들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일반적인 수가 별 시세는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동물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서, 마치 사람이 비급여 진료를 보는 것처럼 동물병원마다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