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룻이 왜 목관악기 쪽으로 편성되나요?
색소폰이나 클라리넷 오보에는 나무리드를 쓰니까 목관악기인건 이해가 가는데요
플룻도 목관악기라고 하던데
플룻은 나무가 아닌데 왜 목관악기로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양재영 전문가입니다.
플루트가 목관악기로 분류되는 이유는 악기의
구조와 연주 방식
이 원래 목관악기의 특징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도 플루트는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목관악기로 분류되었고,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이후에도 그 분류가 유지된 것입니다.
목관악기는 소리를 내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
입김을 통해 진동을 만들어내는 악기
를 포함합니다. 플루트는 리드를 사용하지 않지만, 연주자가 입김을 불어 넣어 공기를 진동시키는 방식은 여전히 목관악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죠. 이 때문에 플루트는 금속으로 만들어졌어도 여전히 목관악기로 분류됩니다.
즉, 재질보다는 악기를 연주하는 방식과 전통적인 분류 체계가 기준이 된다고 볼 수 있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
플룻은 규칙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도록 개량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무로 만들어진 플룻에서 발생됐던 문제점들이 금속으로 바뀌면서 보완이 됐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목관악기에 속했고 지금까지도 목관악기로 불리우고 있는 것이랍니다 플룻을 목관악기로 구분하는 이유는 또 있는데 소리를 내는 방식이 금관보다는 목관악기에 가까워서입니다. 관악기는 소리를 낼 때 입술 진동 이용 여부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뉘는데 목관악기는 입술을 진동시킬 필요 없이 관의 숨만 불어넣으면 관 속의 공기가 진동해 소리가 납니다. 반면 금관악기는 관입구의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붙이고 떨어서 소리를 만들지요. 입술이 악기의 일부인 셈인데 플룻은 목관악기처럼 바람을 불어 넣어 연주하기 때문에 목관악기라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관악기의 시초는 다 목관악기에서 출발을 합니다.
목관악기가 생겼을 당시에는 철이 없었던 시기다 보니
목관악기로 되었지만
그 뒤로 철기문화가 생기면서 악기 역시도 변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관악기 역시도 철로 만든 악기과 나무로 만든 악기로 구분을 하기 시작하여서
지금도 플릇은 목관악기로 편성되어 잇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