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플룻이 왜 목관악기 쪽으로 편성되나요?

색소폰이나 클라리넷 오보에는 나무리드를 쓰니까 목관악기인건 이해가 가는데요

플룻도 목관악기라고 하던데

플룻은 나무가 아닌데 왜 목관악기로 들어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양재영 전문가
    양재영 전문가
    와이지 컴퍼니

    안녕하세요. 양재영 전문가입니다.

    플루트가 목관악기로 분류되는 이유는 악기의

    구조와 연주 방식

    이 원래 목관악기의 특징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도 플루트는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목관악기로 분류되었고,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이후에도 그 분류가 유지된 것입니다.

    목관악기는 소리를 내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는데, 일반적으로

    입김을 통해 진동을 만들어내는 악기

    를 포함합니다. 플루트는 리드를 사용하지 않지만, 연주자가 입김을 불어 넣어 공기를 진동시키는 방식은 여전히 목관악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죠. 이 때문에 플루트는 금속으로 만들어졌어도 여전히 목관악기로 분류됩니다.

    즉, 재질보다는 악기를 연주하는 방식과 전통적인 분류 체계가 기준이 된다고 볼 수 있어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

    플룻은 규칙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도록 개량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무로 만들어진 플룻에서 발생됐던 문제점들이 금속으로 바뀌면서 보완이 됐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목관악기에 속했고 지금까지도 목관악기로 불리우고 있는 것이랍니다 플룻을 목관악기로 구분하는 이유는 또 있는데 소리를 내는 방식이 금관보다는 목관악기에 가까워서입니다. 관악기는 소리를 낼 때 입술 진동 이용 여부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뉘는데 목관악기는 입술을 진동시킬 필요 없이 관의 숨만 불어넣으면 관 속의 공기가 진동해 소리가 납니다. 반면 금관악기는 관입구의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붙이고 떨어서 소리를 만들지요. 입술이 악기의 일부인 셈인데 플룻은 목관악기처럼 바람을 불어 넣어 연주하기 때문에 목관악기라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관악기의 시초는 다 목관악기에서 출발을 합니다.

    목관악기가 생겼을 당시에는 철이 없었던 시기다 보니

    목관악기로 되었지만

    그 뒤로 철기문화가 생기면서 악기 역시도 변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관악기 역시도 철로 만든 악기과 나무로 만든 악기로 구분을 하기 시작하여서

    지금도 플릇은 목관악기로 편성되어 잇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