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이 어떤 금속물질을 사용하면 금속물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나요?
꿀의 특성으로 인하여 특정 금속물질과 만나면 해당 금속물질에 부식이 일어날수 있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어떤 금속물질을 만나게되면 영향을 받게되고 왜 이러한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벌꿀은 산도가 매우 높아 금속성 용기에 넣으면 금속성분이 벌꿀에 녹아 들어갈 염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유리병에 보관하고 금속 용기의 경우에는 코팅처리된 것을 써야 합니다. 벌꿀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용 후에는 필히 뚜껑을 꼭 닫아 두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하여야 합니다.
출처 : 동서식품 - 벌꿀 사용시 주의사항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일부 꿀은 특정 금속물질과 만나면 그 금속물질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꿀 부식" 또는 "꿀 부식 효과"라고 합니다.
주로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의 금속물질이 꿀에 노출되면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꿀에 포함된 산성 물질, 황산 및 클로로화산 등이 금속 표면에 작용하여 부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꿀 부식의 발생 메커니즘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부 꿀은 pH 값이 낮아서 산성이며, 황산 및 클로로화산과 같은 화학 물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금속 표면과 반응하여 산화 반응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금속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꿀에는 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표면에 노출되면 수분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금속의 산화를 촉진하고 부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꿀은 당류와 산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알루미늄, 구리, 아연과 같은 산과 반응하기 쉬운 금속과 만나면 부식이 발생합니다. 꿀의 당류가 금속 표면에 침투하여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이온을 생성하고, 이 금속이온이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금속을 생성하여 부식을 일으킵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꿀은 수분, 당분, 유기산, 효소, 색소 등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꿀의 부식성을 유발하는 성분은 주로 유기산입니다. 꿀에 함유된 유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연산
사과산
포도당산
젖산
초산
이러한 유기산은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구연산은 꿀에 가장 많이 함유된 유기산으로, 강한 부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꿀의 부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발생합니다.
꿀에 함유된 유기산이 금속의 표면과 반응하여 금속 이온과 유기산 음이온을 생성합니다.
금속 이온은 꿀의 수분과 반응하여 금속 산화물을 생성합니다.
금속 산화물은 금속 표면에서 세포를 형성합니다.
세포는 점차 성장하여 금속 표면을 침식합니다.
꿀의 부식은 금속의 종류, 꿀의 농도, 온도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금속이라도 꿀의 농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부식은 더 심하게 발생합니다.
꿀의 부식은 다음과 같은 금속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