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말에 성조가 있었다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지금의 한국말에는 사투리의 억양 차이만 있지 특별히 성조가 없는데요.
조선에서는 말할 때 성조가 있었다는데 정말인가요?
성조가 있었다면 왜 있다가 지금은 없어진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중세 국어 (15, 16세기)는 성조 언어이었던 것으로 믿어지고 있습니다. 당시의 정음자료나 문헌기록의 설명에 의하면, 중세국어는 넓은 의미의 성조 언어였음을 거의 의심할 수 없게 한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방점인데 글자의 왼쪽에 점을 찍어 표시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