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가 뭔가요?
최근에 코스피 모종목이 1분기 영업이익 1조원이 넘게 나왔는데, 주가는 거의 20%넘게 빠진 듯 합니다. 증권사에서는 어닝쇼크라고 하는데 도대체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 기준이 뭔가요?
질문해주신 어닝 서프라이즈, 그리고 어닝 쇼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어닝 쇼크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상치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것입니다.
어닝 서프라이즈는 이와는 반대로 기업의 실적이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경우을 의미합니다.
✅️ 어닝 서프라이즈는 기대보다 기업의 실적이 더 잘 나온 경우를 의미하며, 어닝 쇼크는 기대보다 기업의 실적이 덜 나온 경우를 각각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기준은 따로 없고 '시장 예상치'가 사실상의 기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닝서프라이즈는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증권사들의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어닝쇼크는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증권사들의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기준은 증권사들이 내놓은 예상치 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통은 전문가(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실적과 부합하는지 안하는지가 언급이 많이 됩니다. 근데 더 중요한건 많은 시장참여자들이 생각한 실적입니다. 이거는 전문가들이 예상한 것도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장 후에 실적발표했는데 매출실적이 좀 안잘아서 빠졌는데 내일 장시작하니 이정도는 괜찮다고 생각하는 투심이 많아 오히려 오를때도 있습니다. 자주 있는 일은 아닙니다만...
감사합니다.
어닝서프라이즈란 기업의 실적이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을 때를 의미합니다.
어닝쇼크란 기업의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했을 때를 의미합니다.
어닝서프라이즈는 예상치보다 실적이 많이 잘나온 경우입니다.
어닝 쇼크는 예상치보다 실적이 많이 못나온 경우입니다.
둘 다 실제 실적이 과거 대비 얼마나 잘나왔는지 보다는 예상치에 비해 얼마나 잘나왔는지가 기준입니다.
어닝서프라이즈나 어닝쇼크는 일반적인 기준은 없지만 대개 기대치에 비해 10%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쓰이는 것 같습니다.
어닝서프라이즈(Earnings Surprise)는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시장 기대를 상회하거나 미달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어닝쇼크(Earnings Shock)는 이러한 어닝서프라이즈가 크게 나타날 때 사용되며, 시장 참여자들이 예상치 못한 큰 변동성을 경험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어닝서프라이즈와 같은 경우에는 시장의 예상치에 비하여 실적이 상회한 것, 어닝쇼크는 시장의 예상치에 비하여 실적히 하회한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시장에서는 매번 기업의 실적을 예측하곤 하는데요.
실제 실적발표가 이뤄지고 예측하던 실적과 비교를 하게 됩니다. 이때 예상치를 넘어서게 된 경우 어닝서프라이즈, 예상치를 하회하는 경우 어닝쇼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어닝서프라이즈의 경우 주가가 크게 상승할 수 있으나 어닝쇼크의 경우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닝서프라이즈는 컨센서스(예상)보다 실적이 더 높게 나왔을 때 사용하는 용어이고 어닝쇼크는
그 반대의 경우에 사용합니다.
물론 예상과의 차이거 거의 없다면 쇼크나 서프라이즈가 없겠지만 예상과 차이를 벌릴 때 해당용어를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보통 증권사나 시장에서 해당 기업에 대해 기대하던 예상치 실적보다 높게 나오면 어닝 서프라이즈, 예상치 실적보다 낮게 낮오면 어닝쇼크라고 얘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