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이가 목성을 관측하고 천동설이 틀렸다는 것을 알았다던데, 어떤 이유가 있나요?
지동설을 주장한 갈릴레이는 여러 연구를 통해 천동설이 틀렸음을 증명했는데요. 그 중 목성을 관측하고 이를 뒷받침 했다던데, 어떻게 알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10년 1월, 갈릴레오는 망원경으로 목성을 관측하며 4개의 위성을 발견했습니다.
당시까지 알려진 천체는 태양, 달, 수성, 금성, 화성, 토성, 그리고 지구뿐이었기에 이는 획기적인 발견이었습니다.
이전에는 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움직인다는 천동설이 지배적이었지만
목성의 위성은 지구가 아닌 목성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09년부터 1610년에 걸쳐 자신이 개량한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에서 4개의 위성을 발견했습니다. 이 위성들은 이오, 에우로파,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등 제우스의 연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천문학 역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전까지 맨눈으로 확인한 태양계 내의 천체는 태양과 달, 그리고 수성부터 토성까지의 행성들이 전부였으나, 망원경을 통해 갈릴레이 위성이라는 새로운 천체를 발견하게 되어 천문학에서 망원경의 중요성이 결정적으로 자리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갈릴레이는 스스로 망원경을 개조해 성능을 끌어 올렸고
그 결과 목성주위를 도는 목성의 위성을 4개나 발견 했습니다
천동설은 지구가 중심이고 나머지 별들은 모두 지구 주위를 돈다는 설이었으니
목성을 기준으로 돌고있는 목성의 위성들은 천동설 부정의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