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검소한오랑우탄282
검소한오랑우탄282

물의 고체분자인 얼음도 전류가 흐를 수 있나요?

물은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속의 여러 분자들을 통해서 전류가 이동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같은 원리로 고체화 된 얼음도 전류가 흐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고체화가 되어버려서 전기가 흐르지 못할지 의심을 해보고, 혹시 흐르게 된다면 물 일때와의 전류 전도도가 같은것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튼튼한라마20
    튼튼한라마20

    얼음은 고체지만,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질입니다. 즉, 전류가 흐르는 전기전도체가 아닙니다. 그러나, 일정한 조건에서는 얼음도 전기전도체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얼음에 전기장을 가하면 얼음 분자들이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합니다. 또한, 얼음의 표면이 물로 덮여 있거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얼음 표면에서 이온화된 입자들이 생성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물과 같이 전기전도체로 동작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전기를 전도하는 이유는 물 분자가 이온과 결합하여 전기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얼음의 경우 물 분자가 얼어서 고체로 바뀌게 되면서 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확률이 줄어들기 때문에 전기 전도도가 떨어집니다.

    그러나 얼음 내부에는 여전히 일부 이온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전기가 흐를 수는 있지만 전도도는 물보다 훨씬 낮습니다. 얼음의 전도도는 물의 전도도의 약 1/10에서 1/100 수준으로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얼음은 물과 같이 전기를 전도하지만, 전도도가 낮아 전기가 흐르는 속도는 매우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얼음 역시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얼음의 전기전도성은 다른 고체에 비해 매우 낮습니다. 이는 얼음의 분자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얼음은 물 분자들이 얼어붙어서 만들어진 고체입니다. 물 분자는 양성자와 음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성자와 음성자 사이에는 전자가 공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의 공유로 인해 물 분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입니다.

    그러나, 얼음이 녹을 때 물분자가 이온으로 분해되는데, 이때 물 분자는 양이온인 H+와 음이온인 OH-로 분해됩니다. 이렇게 분해된 이온들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얼음은 고체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매우 낮기 때문에 실제로 전류를 통과시키는 데는 제한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얼음은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고체에 비해 매우 낮기 때문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데는 제한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각종 미네랄들이 있어 이온의 존재로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물은 이러한 이온들이 움직일 수 없게 고정이 되어 있어 사실상 절연체로 보셔야 합니다.

    → 얼음이 조금녹아 생긴물을 통한 전류를 흐르게 할수 있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물은 공유결정이니 순수한 물은 전류가 통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얼음 상태에서도 안에 전해질이 같이 얼어있지 않는 이상 전류가 흐르는 일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라라거 보시면 됩니다

    얼음은 물분자가 얼어서 고정되어서 전기가 통하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은 물의 고체상태이기 때문에 전기전도성이 없습니다. 즉, 얼음은 전기가 통하지 않습니다.

    전기전도성은 물질의 이온화된 입자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물 분자는 이온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은 전기를 전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얼음이 물로 녹아 흐르게 되면 물 분자들이 이온화되어 양이온(H+)과 음이온(OH-)으로 분해됩니다. 이 때, 물은 전기를 전도할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얼음은 절연체입니다.

    다만..얼음이 완벽한 수분기가 없는 완전 고체로 있을때의 얘기이며..대기중 실온에 나와서 일부 겉면이 녹거나 하면 저항값이 뚝 떨어져서 다시 전류가 흐를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물과 같은 액체는 전기가 흐르고, 고체는 안 흐른다는 식이 아니라..물이 얼어버리면 이온을 통해서 전기이동이 어렵게 되기 때문입니다.

    철이나 구리 등 금속의 고체가 전류가 흐르는 것은 이온이 아니라 자유전자의 흐름 때문입니다.

    저항측정기로 물과, 얼음을 측정해보면 물은 거의 저항이 0에 가깝지만 완전 동결된 얼음은 8m옴 정도의 저항이 있어서 절연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은 물 분자의 결정화 된 상태입니다. 얼음은 전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기 전도도가 매우 낮습니다. 이는 얼음이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얼음이 물의 고체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속도는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얼음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