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코인에 거액을 주고 노드로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페이스북에서 발행하는 글로벌코인이 100개의 노드를 개당 천말달러에 판매하고 있고 이미 많은 글로벌기업이 노드로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노드로 참여하는 기업 입장에서 글로벌코인의 노드로 참여하는 것은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1000만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니 참여하는 것일텐데 그게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현재 알려진 페이스북 글로벌 코인의 노드로는 비자 카드, 마스터 카드, 우버, 페이팔 외 전자 상거래 업체, 여행, 금융 업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결제 서비스와 관련이 많은 기업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사나 페이팔도 그렇고 우버의 경우도 전세계적인 서비스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 간의 경계가 없이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가 있을 경우 고객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코인의 노드로 참여하려고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페이스북이 글로벌 코인 결제, 송금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사 서비스를 이용하는 약 23억 명의 유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되 '리브라 협회'라는 별도의 협회를 설립하여 독립시켰다는 점, 노드들의 연합으로 운영할 것이라는 점에서 노드로 참여하는 회사들이 페이스북의 서비스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선택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각 회사가 별도로 자체적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1천만 달러(약 118억 원)로는 부족하며 이용자들을 확보하고 Mass Adoption을 이루기 위한 마케팅 비용 및 기타 블록체인 운영 비용 등이 천문학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적인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 있다고 하더라도 시스템의 구축에는 시간이 걸리며 신용카드로 전통적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카드사나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아직 제공하지 않고 있는 페이팔 모두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 기술적인 부분이나 운영적인 면에서 노하우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18억원으로 페이스북이라는 세계적인 IT기업의 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은 어쩌면 매우 저렴한 비용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끝으로 노드들이 부담하는 1000만 달러가 페이스북에 대한 기술 이용료 등으로 쓰이거나 페이스북을 위해 쓰이는 것이 아니라 스테이블 코인인 글로벌 코인을 발행하는데 쓰인다는 점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점을 종합해 보면 글로벌 거대 기업들에게 한화로 118억원이라는 노드 비용은 글로벌 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대가로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비해서는 매우 저렴한 비용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에 글로벌 코인이 실패하더라도 큰 부담이 없는 금액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분기당 1조원 넘는 순이익을 내는 우버 역시도 마찬가지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