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좋은지식을추구하는침팬치
좋은지식을추구하는침팬치24.02.11

개기월식은 어떻게 해서 일어나는 건가요?

제가 한 번씩 과학적으로 엄청 궁금한 게 한 가지 있는데요. 개기 월식에 관해서인데 개기월식은 어떻게 해서 일어나는 건가요? 그리고 1년에 몇 번 생기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은 태양, 지구, 그리고 달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발생하는 천체 현상입니다. 이때 지구가 태양빛을 가리면서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태양 달 지구 가 일직선상에 놓일때 달이 태양의 안으로 들어가는것을 이야기 합니다.

    발생 개기 일식은 전지구적으로는 약 18개월에 한번 일어나지만, 특정한 장소에서 개기 일식이 일어날 확률은 평균 370년에 한 번 꼴이다. 지상전체로 볼 때, 한 해를 기준으로, 일식은 적어도 2회, 많으면 5회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은 달이 가려지는 현상인데요

    지구와 태양 달이 일직선이 되었을 때 지구에 의해 태양빛이 가려지면 개기월식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은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에 위치할 때 발생합니다.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면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덮이면서 개기월식이 일어납니다. 이는 태양의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 월식은 지구, 달, 태양이 한 직선에 위치할 때 발생합니다. 월식은 만월에서 일어나며,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을 이룰 때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떨어지면서 발생합니다. 개기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 중심에 들어갈 때 발생하며, 이로 인해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게 됩니다.

    개기 월식은 일년에 2~4번 정도 발생합니다. 그러나 모든 지역에서 모든 월식을 관측할 수는 없습니다. 발생 빈도는 일정하지 않고, 태양과 달의 궤도가 조금씩 변하기 때문에 그 주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 월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가면서 일어납니다. 이때 달의 그림자가 지구에 떨어지면서 달이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개기 월식이라고 합니다. 개기 월식은 보통 한 해에 2~3번 정도 발생하며 달의 궤도와 지구의 궤도가 일치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가는 시간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시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매번 정확한 날짜나 시간에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빈도를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매년 몇 번씩 발생하는 빈도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기 월식은 우리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자연현상 중 하나이며 매번 다른 모습으로 우리를 놀라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이 발생하려면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때 태양, 달, 지구가 일직선 상에 정렬되어야 합니다.태양의 광선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면 개기월식이 시작됩니다. 이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개기월식이 진행되면 달은 점차 어둡고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이는 지구의 대기로 인해 태양광이 거의 차단되고, 붉은 빛만이 달에 도달하기 때문입니다.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면 최대 개기월식이 발생합니다. 이때 달은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게 되어 완전한 어둠의 상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지 않고 일부만 가려지는

    월식 현상입니다.

    달이 지구 그림자의 반그림자에

    들어가면 일어납니다.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이 일직선상에

    있을 때 월식이 일어납니다.

    지구는 태양빛을 차단하여

    그림자를 만듭니다.

    달은 지구 그림자를 지나가면서

    월식을 경험합니다.

    달이 지구 그림자의 중심을 지나지 않고

    반그림자에 들어가면 개기월식이 일어납니다.

    달 전체가 어둡게 변하지 않고

    일부만 어두워집니다.

    붉은색 또는 붉은색빛을 띠는

    달을 볼 수 있습니다.

    지구 그림자의 반그림자에 있는

    시간에 따라 개기월식의

    지속 시간이 달라집니다.

    1년에 2~4번 발생합니다.

    하지만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 지역에서만 볼 수 있으며

    빈도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특별한 장비 없이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하게 관찰하기 위해

    직사광선을 피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개기월식을 불길한 징조로 여겼습니다.

    개기월식은 슈퍼문과 함께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슈퍼문 개기월식은 더 크고 밝게

    보이는 달을 볼 수 있는 특별한 현상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고,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고 있을 때 이들이 태양 - 지구 - 달 순서대로 일직선 상이 배열이 되는 보름날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월식(달이 먹힘)현상이 관측된다. 하지만 달이 공전하는 궤도가 지구가 공전하는 궤도보다 5도 정도 삐딱하게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항상 월식이 관측되진 않는다. 그중 개기 월식 (Total Lunar Eclipse)은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이다. 이때 달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완전히 보이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검붉게 빛난다.

    출처 : 나무위키 - 월식

    이런 개기 월식이 딱 정해져 있는 주기가 있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대략적으로 100년에 70~75회정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월식은 월면 전부 또는 일부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리워져서 지구에서 본 달의 밝은 부분이 일부 또는 전부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중에서 개기월식은 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 발생되는 현상이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