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p검사를 할때 항원항체반응이 사용된다고 하는데, 이때 검사하는 과정이나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Crp검사를 할때 항원항체반응이 사용된다고 하는데, 이때 검사하는 과정이나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Crp검사 수치를 알게되는 것도 어떤 원리인지 알려주세요
CRP(C-reactive protein) 검사는 주로 채혈을 통해 검사하며, 염증이나 감염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입니다. CRP는 간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몸에 염증이 생기면 혈액 내 농도가 증가합니다.
CRP 검사는 C-반응성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염증이나 조직손상에 반응하여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물질을 측정하는 것이죠.
좀 더 간단히 말씀드리면 면역 검사를 이용하여 C-반응성 단백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면역 검사는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한 검사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해서 원하는 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몇가지 종류가 있는데, 응집법과 효소 면역 측정법, 방사 면역 측정법 등입니다.
검사 과정을 간단히 설명드리면 먼저 SST tube에 혈액 3ml을 채혈한 다음, 5분정도 기다리고, 3000rpm으로 10분으로 원심분리를 해줍니다. 그리고 피펫을 이용하여 혈청을 채취합니다. 채취한 혈청을 판정용 반응판에 한 방울 떨어트려 검사를 진행합니다.
안녕하세요.
CRP검사에 여러 방법이 있지만 Latex 법 과정을 소개해드리면, Latex법은 CRP 유무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으로,
1.먼저 정맥에서 검사할 환자의 혈액을 채혈합니다.
2.혈액이 응고될 때까지 기다리고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합니다.
3.혈청을 따로 옮겨 식염수로 단계별 희석합니다.
4.CRP 검사 키트의 테스트 슬라이드(번호가 매겨진 원이 그려져 있음)에
5.CRP positive control 용을 1번, CRP negative control 용액을 2번에 한방울씩 떨어트립니다.
6.나머지 번호에 희석한 혈청을 한방울씩 떨어뜨립니다.
7.떨어뜨린 각 방울에 Latex 시약을 한방울씩 떨어뜨려 섞어줍니다.
8.테스트 슬라이드를 조금씩 회전하여 떨어뜨린 시약이 원안쪽에 고루 퍼지도록 하고 기다립니다.
9.응집반응이 일어나면 CRP양성, 응집반응이 없으면 CRP 음성입니다.
10.positive control은 양성, negative control은 음성 반응을 보이므로 해당 용액에 반응이 있는지 보고, 키트가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혈청용액의 응집반응을 보고 CRP 양성 혹은 음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Latex 시약에 CRP에 대응하는 항체가 들어있습니다.
Latex시약은 라텍스 입자표면에 CRP 항체를 붙여놓은 복합체가 들어있는 용액입니다.
그래서 혈청에 CRP가 있으면 CRP와 라텍스-항체 복합체가 서로 붙으며 엉겨 응집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응집반응을 통해 CRP 유무를 알 수 있습니다.
CRP 양성으로 판단되면 추가검사를 진행합니다.
CRP의 구체적인 수치를 알려면 다른 키트와 검사장비가 필요합니다.
검체 준비는 Latex 방식과 같고, 항체 원리도 같지만, 다른 시약을 사용하고, 특정 파장을 사용하여 분광광도계로 혼탁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검사기에서 혼탁도에 따른 CRP농도를 알려줍니다. 여기에 희석한 양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혈중 CRP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CRP (C-reactive protein) 검사는 혈액 내 CRP 농도를 측정하여 염증이나 감염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검사에서는 항원-항체 반응이 핵심 원리로 작용합니다. 검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환자의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합니다. 그 후, 혈청을 CRP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코팅된 용기에 넣습니다. 혈청 내 CRP는 항체와 결합하게 되고, 이후 효소나 형광물질이 부착된 2차 항체를 첨가하여 CRP-항체 복합체에 결합시킵니다. 이때 결합한 2차 항체의 양은 혈청 내 CRP 농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효소 기질을 첨가하거나 형광 측정기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CRP의 농도를 정량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CRP 수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염증 상태를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C 반응성 단백 시험(C-reactive protein), 일명 CRP는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하면 수 시간내에 간에서 만들어져 혈류로 분비되는 급성기 반응물질입니다. 혈액 내 CRP가 증가하는 것은 급성 감염이나 염증이 있음을 의미하며, 심장 발작, 패혈증, 외과적 처치 후 수치가 증가할 수 있으며, CRP는 감염성 질환과 자가면역질환에서 치료 효과를 감시하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간단한 채혈로 얻은 검체는 검사실에서 면역 검사(immunoassay)를 이용하여 C 반응성 단백을 측정하는데요, 면역 검사는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검사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해서 원하는 물질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상인에서 CRP수치는 0.5mg/dL 이하이며, 염증이 심할 경우에는 정상치의 1000배까지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