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NMR에서 O나 N과 결합한 H는 왜 짝지음을 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NMR에서는 coupling이라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던데 O나 N과 결합한 H는 옆자리 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와 왜 짝지음을 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핵자기공명분광법(NMR)에서는 핵 스핀 간의 상호작용 때문에 피크가 갈라지는 짝지음 현상이 나타나는데요, 그런데 실제로 측정해보면 O–H, N–H 결합에 있는 수소는 옆자리 탄소의 수소와 잘 coupling하지 않고 단일 피크로 나타나게 됩니다.

    우선 알코올(-OH), 아민(-NH₂), 아마이드(-CONH₂) 같은 그룹의 수소는 용액에서 매우 쉽게 다른 분자와 수소 결합을 하거나, 용매 또는 불순물 속의 다른 프로톤과 교환되는데요, 이 교환 속도가 NMR 측정 시간보다 빠르기 때문에, 다시 말하자면 coupling 상호작용이 측정되기 전에 프로톤이 계속 바뀌어버리기 때문에 평균화되어 싱글렛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또한 보통 탄소–수소 간의 J coupling은 7 Hz 정도이지만, O–H나 N–H의 경우 전자가 산소나 질소 쪽에 더 끌려가 있어 결합을 통한 스핀 전달이 약하며, 따라서 coupling 효과가 나타나더라도 피크가 갈라질 만큼 크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산소나 질소의 경우 탄소와는 다르게 프로톤이 빠르게 교환이 됩니닺이속도가 측정속도보다 빠르게되면 싱글렛으로 보이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