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분기 경제 성장 잠정치가 3.3% 나왔던데 관세가 실제로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인가요?
미국의 1분기 경제 성장률은 -0.5%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2분기 경제 성장 잠정치가 나왔던데 3.3%로 급상승했더라구요
이런 잠정치는 미국의 관세정책 자체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는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관세정책 자체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되었다기 보다는
아무래도 미국 경제 자체가
현재 견고하기에 그런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그렇다고 볼수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서 외국 기업들이 미국내 공장 신설이나 일자리 창출, 신규 투자 등의 관세 회피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미국의 경제가 활기를 띌수 있게 될 가능성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하여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추가 상승한다고 예측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로 인한 발작이 어느정도 진정되었다고 보는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
아무래도 경제가 불안정하고 불만이 나오기 시작하면 정치적인 입지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국의 관세정책을 수정하여 성장율을 높이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성장률 숫자만 보면 갑자기 반전된 느낌이라 헷갈릴 수 있습니다. 1분기에 마이너스였다가 2분기에 3퍼센트 넘게 튄 걸 단순히 관세 효과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사실 이런 단기 성장률은 소비 회복이라든가 정부 지출 확대 같은 요인도 크게 작용합니다. 관세가 있으면 일부 산업은 보호받아서 이익을 보는 것 같아 보이지만 동시에 수입 물가가 올라서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기업 원가도 높아지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래서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관세가 성장률에 긍정적이라는 평가는 거의 안 나옵니다. 이번 수치는 미국 경제가 복합적인 요인으로 반짝 반등한 결과 정도로 이해하는 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은 -0.5%를 보인 이유는 우선 올해 초 연방정부를 일시적으로 지출시켰고 일시적으로 관세로 인해서 금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는 관세가 부과되면 금관세도 부과되고 이로 인해서 미국의 금융기관들이 금수입을 일시적으로 크게 늘린게 원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관세부과이전에 재고를 일시적으로 수입을 늘린것도 원인이 된것입니다
즉 2분기 경제성장률은 이런 수입이 크게 감소하고 이번 OBBB법안으로 다시 재정지출이 크게 늘리면서 재정지출 효과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증가한게 원인입니다 다만 사실상 관세로 인해서 이번에 미국의 재정수입이 처음으로 지출보다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부분이 실질적으로 효과를 보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는 합니다
급격한 반등이 실제 경제 회복을 반영하는지에 대해서는 해석이 엇갈립니다. 우선, 2분기 GDP가 수입 급감의 기술적 효과에 의해 부풀려졌다는 점이 주요 변수가 됩니다. 1분기에는 관세를 앞두고 수입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에 GDP가 크게 감소했고, 2분기에는 수입이 줄어든 반면 소비 지출이 상승하면서 GDP가 회복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국의 관세정책이 미국 경제에 실제로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복잡합니다. 단기적으로는 특정 산업을 보호하고 무역적자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불확실성과 비용 부담—예컨대 기업의 수입 비용 상승, 글로벌 공급망 혼란, 소비자물가 압박—을 초래할 우려도 클 것입니다.
실제로 이번 GDP 수치에서도 수입 급증과 급감이 경제 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친 만큼, 관세가 경제 안정성에 부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 상무부는 성장률 상향 조정의 이유로 수입 감소와 소비자 지출 증가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은 GDP 성장률에 가장 큰 기여도를 기록했고, 미국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소비 지출도 예상치 보다 증가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BEA 2차 추정치로 25년 21ㅜㄴ기 실질 GDP 연율 3.3%, 1분기 -0.5%에서 반등했습니다. 소비, 재고, 순수출이 기여했지 수치만으로는 관세 효과를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관세는 일부 제조에 플러스, 물가, 교역엔 마이너스를 낳아 정책 믹스로 봐야 정확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3%가 넘었다고 한다면 내수적인 소비가 활성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가 추가부과가 된것은 미국시장에서의 소비자들이 한국이나 타국의 물건에 대한 매리트가 사라진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전의 저렴한가격과 비교하여 관세등으로 상승한 금액에 대한 구매를 멈추고 고민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구매를 포기할 수있게 한다면 이는 자국 물품을 구매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경제 성장 잠정치가 3.3퍼센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의 GDP가 깜짝하게 오른 것은 관세라기 보다는
반도체 산업 등에서 좋은 실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GDP가 오른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