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날으는피자
날으는피자

국내 주식 상한가 기준은 30%인데 왜 항상 보면 30%가 딱 되진 않나요?

어제, 오늘 상한가 종목이 많아서 유심히 보니까 분명 상한가 기준은 30%인데 왜 항상 보면 30%가 딱 되진 않고 29%, 28% 이러나요? 끝 부분 일부러 남겨두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식이 가격호가단위 때문에 상한가 하한가 가도 딱 +30프로 -30프로 이렇게 정확하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가격호가단위라는게 2000-5000원은 5원단위 5000-20000원 10원단위 20000-50000원 50원단위 50000-200000원은 100원단위로 계속 올라가긴하거든요

  • 상한가 기준 30%에 가까이 가면 매수하는 사람들이 꼭대기에 왔다는 상황을 인식하고 더 이상 매수하지 않은 것이지요.

    자기들이 가고 싶은 상한가에 가까이 갔는데 더 이상 매수할 필요가 없겠지요.

  • 국내 주식 시장에서 상한가는 주식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30% 상승했을 때 적용됩니다. 그러나 상한가가 정확히 30%가 되지 않는 이유는 주식 가격이 소수점 단위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주식 가격이 소수점 단위로 계산되다 보니 30% 상승해도 정확히 3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시초가에 따라 정확하게 30%가 되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일부러 끝 부분을 남겨두는 게 아니라 시작한 가격에 따라 29.98%가 될 수도 있고, 29.99%가 될 수도 있고 딱 30%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 위와 같은 경우에는 호가들의 차이로 인하여 그렇습니다.

    예로 들어서 3200원짜리가 30%가 오른다면 4160원이 되어야 하나 이러한 호가 문제로 인하여 29.XX% 이러한 것들이 보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 가격에 따라서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주 만원이면 30% 해서 13,000원으로 30% 상승이 될수 있습니다만

    금액이 애매하게 되어 있어서 약 30% 가까이 되는것 까지 표현하다보니

    29.xx% 이렇게 까지만 올라갈수도 있습니다.

  • 국내 주식이 상한가 적용 되는 30%에 도달 했다고 해도 상한가 가격 부근에서 계속적인 거래가 이뤄지고 마감 시간 후에는 더 이상 거래가 이뤄지지 않게 되고 시간외장으로 거래가 되게 되는데 마감 시간의 움직임 가격에 맞춰지기 때문에 30%가 꽉 안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어제 포항 앞바다 유전 발견으로 몇몇 종목이 상한가 갔었죠?

    그 숫자를 보면 29.98% 29.97% 입니다.

    상한가인데 왜 30%가 안되냐?

    그것은 주가가 한틱당 1원씩이 아니라 50원 100원 500원 1000원 단위 등으로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한 호가당 %로 상승률이 0.05% 정도 될수있습니다.

    정확히 30%를 맞추기는 어려운 것입니다.

    상한가인데 29%나 28%는 아닙니다. 29.9~% 이상일 겁니다.

  • 질문해주신 국내 주식 상한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상한가 등에 이르게 되면 주식 거래가 일정 시간 멈추는 것이기에 그 직전에서 멈추는 것이 아닐까합니다.

  • 안녕하세요

    • 주식이 퍼센트 그대로 상승하는 것이 아닌 호가가 따로 있기 때문에 29% 다음이 꼭 30%가 아닐 수 있습니다

    • 따라서 30% 이하중에 가장 높은 금액이 상한가가 되는 것입니다

    • 호가에 따라 50원 혹은 1,000원씩 변동하는 주식마다 차이가 있기에 그러한 지표가 나오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상한가는 주식 가격이 하루 동안 오를 수 있는 최대 한도를 의미합니다. 이 한도가 30%이지만 항상 정확히 30%에 도달하지 않는 이유는 매수와 매도의 균형 때문입니다.

    가격이 30%에 도달하기 직전에 매도하려는 사람들이 생겨서 실제로는 29%나 28%에서 멈추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식의 가격이 금액대에 따라서 50원, 100원, 500원이 움직이는데 이런 부분을 '틱'이라고 부릅니다. 결국 1틱의 금액으로 변동되다 보니 30%를 딱 맞추지 못할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30%가 안되는 상한가들이 많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