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덤블링하는 낙타
덤블링하는 낙타

디지털 세관이란 무엇이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요?

디지털 세관이라는 단어를 보고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디지털 세관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디지털 세관이 무역 절차와 국제 무역에 미치는 주요 효과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디지털 세관이라 함은 디지털 관세행정을 말씀 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2011년부터 CCF-Korea를 지원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현재 약 300만 달러의 협력기금을 활용해 상기 언급된 신기술 및 데이터 관련 협력사업인 BACUDA 프로젝트, 데이터 분석, 이러닝 모듈, 가상현실(VR) 훈련시스템, IT 컨퍼런스 등 WCO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부분의 미래세관 전략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IT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는 한편, WCO 회원국들로부터는 전자세관 비전에 가장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에 대하여 링크를 첨부합니다.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2000040000100010&cidx=13680&sel_year=2022&sel_month=09&pp=20&pg=1

      세관은 국가 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디지털화된 무역데이터, 글로벌 공공데이터 및 기타 오픈소스 정보 플랫폼의 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국경에서의 무역안전 및 무역원활화를 성공적으로 관리해 나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국제적인 위기상황에서 인적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원활한 세계 물류 흐름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전 세계 디지털세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관세행정에서의 데이터 생태계 구축은 필요 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디지털세관이란 모든 업무를 디지털로 처리하는 세관형태를 뜻합니다. 한국의 경우 관세청의 노력으로 이미 대부분 업무들이 디지털화 되었지만 다른 국가들의 경우 아직 수작업으로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행정업무가 간편해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자동심사 및 각국가의 시스템 연결 등이 된다면 행정적인 절차가 더욱 효율적으로 변경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디지털 세관이라는 용어는 실무상 그리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최근 세관 행정이 모두 시스템화되었고 직접 서류를 제출하기보다는 인터넷 기반으로 수출입신고 등 세관행정이 이루어지다보니 이를 디지털 세관이라고 명명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됩니다.

      디지털 관세행정은 우리나라에서는 굉장히 많이 발전되어있으며, 이것이 결국 전세계 각 세관에 널리 확산/보급된다면 세관행정에서 굉장히 중요한, 밀수차단, 덤핑 방지, 세관자료의 db화 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디지털 세관은 통관 업무를 디지털화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서류 제출이나 검사 등의 과정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며, 실시간으로 통관 정보를 조회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서류 제출이나 검사 등의 과정이 비대면으로 이루어져 시간과 비용이 절약됩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통관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 투명성이 높아집니다.
      현재 우리나라 세관은 4세대 국가정보망을 통해서 세관 업무 전산화를 지속적으로 고도화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디지털세관이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세관 업무를 효율화하고 무역 거래를 원활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습니다.


      디지털세관은 수출입 신고, 통관, 검사 등 세관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무역 거래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수출입 신고, 통관, 검사 등 세관 업무의 일부를 자동화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의 처리 속도를 높이고,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