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

여자는 조문시 절하는 횟수는 어떻게 되는지요?

요즈음에는 여자들이 조문할 때 절하는 것을 잘 보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상가에 조문가서 절을 할 경우 몇회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문을 하는것은 남자나 여자와 관계없이 두번의 절과

      한번의 상주와 절을 하는것은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여성들이 조문시 절하는 횟수는 정해진 규정이 없습니다. 조문시 절의 횟수는 개인의 선호나 믿음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세 번이 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다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음 요즘은 여자남자 상관없이 조문시 전부 절하는 문화인데요^^::


      성별 니이 구분없이 2번 큰절 후 한 번 반절입니다 이후 상주랑 맞절진행하구요


      개신교 혹은 천주교일 경우 절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여자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그 이유는 여자는 음이므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산 사람에게 한번, 죽은 사람에게 남자는

      재배라 하여 두 번 절한다.

      여자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그 이유는 여자는 음이므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한다. 음양의 원리에 의해

      양의 수는1, 음의 수는 2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에는 남녀공통으로 재배로

      바뀌는 경향이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장례 문화에서 여자가 조문할 때 절하는 횟수는 특별한 규정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한 번 절을 하고 머리를 숙이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세 번 절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분통(분노)을 표현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종교나 지역에 따라서는 특별한 절 방식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교에서는 세 번 절을 하면서 머리를 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카톨릭 교회에서는 십자가를 그리며 기도하는 방식으로 조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여자가 장례식에 조문할 때는 가족이나 지인들의 관습과 선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절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자, 여자 절하는 방법이 다를 뿐 횟수는 같습니다.

      남자는 절할때 오른손이 왼손 위에 있어야 하고 반대로 여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