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의 혜택이 궁금합니다??
내년부터 주식에 양도세를 내야하는데 isa는 세금을 안낸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isa에 여러가지 혜택이 있는거로 아는데 여러가지 혜택을 구체적으로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단점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제혜택을 살펴볼게요!
계좌 내 상품/기간간 손익을 통산 후 순소득 중 200만원까지 비과세, 200만원 초과분 9.9% 분리과세 (지방소득세 포함)
총급여 5,000만원 이하 근로자/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 사업자는 400만원까지 비과세, 개별투자 시 비과세 되는 부분은 ISA 내에서도 비과세 인정
국내 상장주식 매매차익은 비과세이므로,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ISA 내 예금 다른 펀드 등에서 발생한 이익과 통산되지 않음. 등의 혜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ISA계좌란? 하나의 계좌로 예/적금, 펀드까지 투자 가능한 절세형 만능계좌 ISA로 일정 기간 경과 후 여러 금융상품의 운용결과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통산한 순이익 기준으로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입니다.
- 장점
1. 주식투자 손실시 유리합니다.
일반형 ISA계좌에서 주식투자를 하여 100만원을 손해봤다고하면, 우리는 이 100만원을 비과세 한도에 적용시켜 원래 200만원인 비과세 한도를 300만원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주식 손실만큼 비과세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서 굉장히 합리적인 절세가 가능합니다.
2. 배당소득세 절세효과
중개형 ISA계좌에선 주식배당소득세에 대해서도 200~400만원까지 비과세 됩니다. 나머지 9.9%는 분리과세 됩니다.
만약 빠른 목돈 마련을 원하시면 중개형 ISA가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3. 미납입한 금액은 이월 가능
- 단점
1. ISA 계좌에는 의무가입기간이 있어서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각 은행점마다 1%정도 되는 수수료를 갖고 있는데요, 하지만 최근 영업점들의 경쟁으로 인해 수수료도 점점 내려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3. 중도인출이 불가했으나 가능해지고, 비과세 한도도 점차 늘려지고 있어서 가입자격만 된다면 가입을 하는게 더 낫다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의 통장으로 예금, 적금, 주식,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도 있다.
ISA는 소득 조건에 따라 만기 3년이나 5년으로 가입할 수 있는데 최대 400만원과 200만원씩 비과세돼 목돈을 모으기에 적합하다. 3년 만기인 서민형 계좌는 연봉 5000만원 이하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인 사업자가 가입할 수 있다. 일반형 ISA는 누구나 소득만 있으면 가입 가능하며 2019년 부터는 일시적으로 소득이 없는 경력단절자와 휴직자 등도 ISA에 가입할 수 있다. 또한 과세특례 적용기한이 2018년에서 3년 연장되어 2021년 12월 31일 까지로 연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