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원-달러 환율 하락의 의미에 대해

달러가 오를땐 경제가 위험하단 신호라면 달러가 떨어지는 지금

달러가 1400원에서 1200원으로 떨어지고 있는데...

물가안정에 도움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민준 경제전문가blue-check
    김민준 경제전문가23.01.16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수입산 물건의 가격이 하락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물가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특히 한국은 원자재를 수입해서 가공하는 제조업이 발달되는 나라입니다. 환율 급등으로 인란 원자재 가격 상승은 각 기업에 부담을 주는 사안이고, 완성제품의 가격까지 상승하게 되는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환율 하락은 수출에는 불리하지만 수입에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이유 때문에 환율 하락 시 경상수지 악화를 우려하는 것입니다. 또한 수입품의 가격이 떨어지면 수입품과 경쟁 관계에 있는 국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 관련 국내 산업이 침체될 수 있습니다.이 밖에도 환율이 하락하면 외채에 대한 달러 상환 부담이 줄어듭니다. 우리가 외국에서 1억 달러를 빌려왔다고 가정하면 이전에는 빚을 갚기 위해 1,500억원이 필요했지만, 환율 하락으로 1천억원만 있으면 빚을 갚을 수 있는 이론이지요. 유학이나 해외여행에 대한 부담이 줄어 출국자는 많아지는 반면 입국자는 줄어들고 유학 자금 등 해외 송금액은 늘어 서비스 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요. 결론적으로 플러스 요인과 마이너스 요인이 다 존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