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상승이 아파트나 물가에 치명적임에도
기준금리 상승이 아파트 같은 실물자산이나 물가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에도 왜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인가요? 한국은행은 무슨 의도로 기준금리를 올리는것이죠?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 입니다.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려 소비및 투자를 억제하고, 경기 부양 정책의 효과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기준금리 인상은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도 있습니다. 기준금리 인상은 외화 유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준금리 인상은 경제 안정성을 위한 조치도 있습니다.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금융시장의 불안 요소를 완화하고, 금융위기 등의 위험으로부터 경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함이며, 수출 주도형 경제인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글로벌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금리를 올리게 되면 그에 맞춰서 어느정도 금리를 더 올릴 수밖에 없게 됩니다. 원래 더 올려야 하는데, 지금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과 물가의 안정적인 유지가 목표이기 때문에 2020년 이후 급등한 자산가격을 정상화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이 물가에 치명적임에도 불구하고 금리인상을 하는 것은 현재 인플레이션 수준이 매우 심각하게 상승하였다는 점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상승하고 있어 이로 인한 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에요. 지금 금리를 올리지 않게 된다면 오히려 우리나라는 인플레이션과 환율로 인한 경제부도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시면 되세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시중의 돈을 흡수하기 때문에 통화량이 줄어들고 과열된 경기를 꺼지게하는 효과가 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이 물가를 막기 위하여 금리르 올리고
다시 원유의 가격이 오르는 등 이러한 것들이
물가를 올릴 가능성이 있고 이에 대한 부작용을 막기 위하여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사중에 유동성이 많이 풀려서 익히 아시는 바대로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이 급상승했습니다. 인위적으로 투입한 유동성은 반드시 회수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산 가격에 버블이 껴들어 자칫 급격한 가격 하락 발생으로 금융 위기로까지 확대 전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작년초부터 이어진 글로벌 고물가 제어를 위해서도 금리 인상은 필요한 조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시장에 유동성이 줄어들며 물가가 잡히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들보다 한은의 금리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이며,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 가지 않는다면 한국에 들어와있는 투자금 등 외환들이 미국으로 외화가 유출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올라가면 더 치명적이기때문에 금리를 올립니다. 실물자산은 소위 중상층에게 피해가 가지면 물가가 오르면 서민경제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여러 가지 경제상황을 고려해 결정하게 됩니다.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은 보통 고물가가 지속되는 경우입니다. 고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시중에 풀린 통회량을 줄여야 하는데 그러려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합니다.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여러 영향이 있음에도, 우리나라는 물가 상승의 압박보다는 경제 성장 둔화 영향이 더 커서 미국과 달리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