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과세, 법정화폐 가능성 시사하는걸까요?
경제가 어려울수록 사람들은 투자에 눈을 돌리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투자로 비트코인 많이
하시는데 다들 내년으로 유예된 세금부과에 대해
의문과 약간의 기대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의 과세가 법정화폐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이미 거래대금이 코스피를 훌쩍 넘겨버린 것을 이제 관료들도 인지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세를 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자산으로 인정이 되야 합니다.
자산으로 인정이 된다면 여러 투자상품들이 생길수 있습니다.
현재 외국에서는 코인이 자산으로써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과세가 되고 있는만큼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과세가 이루어진다고 해서 우리나라에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엘살바도르가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지정한 바 있지만 화폐라는 것은 해당 국가의 근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를 수용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코인에 대한 과세는 법정화폐의 가능성보다는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라는 의미가 더 적합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그렇게 기대 하는 코인 투자자들이 많죠. 하지만 아직까지는 코인을 인정하지 않고 투자보다는 투기로보는 시선이더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은 변동성도 너무 심하고, 폰지사기나 시세 조작같은 불법같은 일들이 생기면서 더 코인에 대한 안좋은 인식을 남겨주는것 같습니다. 법정화폐가 되면 좋겠지만, 아직까지는 시기상조인것같습니다. 성투하세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나 미국같은 선진국에서 엘살바도르처럼 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하는 일은 최소 10년 간은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투자대상으로서 코인은 현재도 기관이나 세계의 손꼽히는 부자들이 투자하고 있고 향후에도 기관 투자자금이 계속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우상향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