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러블리한다향제비29
러블리한다향제비29

3학년 선택과목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현재 정법물2화2생2 선택했는데 이과가 굳이 등급까지 나오는 정법을 들을 필요는 없는 것 같아서 정법을 지2나 고급생명으로 바꾸려 합니다. 수능 선택과목은 물화생 중 2개 볼 것 같은데 어떻게 선택하면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그대로 하는 게 좋을까요?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학교 중에 사탐 하나 과탐 하나 받아주는 학교들 목록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선택과목과 수능 과목 조합을 최적화하는 것은 진학 목표에 맞게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를 희망한다면 일반적으로 이과 과목(과학탐구)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사탐 과목보다 과탐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음으로 질문에 따라 답변을 정리하겠습니다.

    ---

    1. 선택과목 변경에 대한 조언

    정법 → 지구과학Ⅱ 또는 고급생명과학으로 변경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이유:

    이과생이라면 과학탐구 과목을 더 깊이 공부하는 것이 수능과 내신에서 모두 경쟁력이 있습니다.

    정법(사탐) 등급이 나와도 바이오메디컬공학과처럼 자연계열에서는 큰 가산점이 없고, 부담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Ⅱ는 물리, 화학, 생명과학과의 시너지가 좋고, 이해와 암기 비중이 적절해 이과생들에게 선호도가 높습니다.

    고급생명과학은 생명과학을 심화 학습하는 과목으로, 바이오메디컬 분야와 직접 연관성이 높아 도움됩니다.

    ---

    2. 수능 선택과목 조합

    현재 물리, 화학, 생명과학 중 2개를 볼 예정이라면 다음을 고려해보세요:

    1안: 물리Ⅱ + 생명과학Ⅱ

    이유: 물리는 계산력과 논리력을 키워주고, 생명과학은 바이오메디컬공학 전공과 가장 관련이 깊습니다.

    많은 대학에서 물리 선택 시 가산점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2안: 화학Ⅱ + 생명과학Ⅱ

    이유: 화학은 의약, 바이오 연구에서 필수적인 기초 과목입니다. 화학과 생명과학의 조합은 생명공학 분야에 가장 적합합니다.

    ---

    3.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사탐 1과목, 과탐 1과목 인정 학교 목록

    일반적으로 자연계열 학과는 수능에서 과탐 2과목을 필수로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대학은 사탐 1 + 과탐 1 조합을 허용합니다.

    1. 건국대: KU자연계열에서 사탐 1과 과탐 1을 인정합니다.

    2. 경희대: 일부 학과에서 탐구 선택에 대해 비교적 유연한 기준을 둡니다.

    3. 동국대: 자연계열 학과에서 사탐 1과 과탐 1 조합이 가능하지만, 과탐 반영 시 가산점이 주어지므로 불리할 수 있습니다.

    4. 서울과학기술대: 자연계열에서 탐구 과목 반영이 상대적으로 자유롭습니다.

    5. 중앙대: 일부 수능 전형에서 탐구과목 제한이 없으나, 자연계열 학생은 가급적 과탐이 필수입니다.

    ---

    결론 및 추천

    1. 정법을 과탐(지구과학Ⅱ 또는 고급생명과학)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2. 수능에서는 물리Ⅱ + 생명과학Ⅱ 또는 화학Ⅱ + 생명과학Ⅱ 조합을 추천합니다.

    3. 사탐 1 + 과탐 1을 허용하는 대학도 있지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과탐 2과목을 준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자연계열에서 수능과 내신을 과탐에 집중하면 대학 진학 시 선택지가 넓어지고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더 유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