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에 먼지가 많으면 왜 화재에 위험하다고 하나요?
기본적으로 전선은 피복에 둘러 쌓여 있어서 누전이나 이런것에 위험에 없을것 같은데요.
왜 전선에 먼지가 많으면 화재에 위험이 있다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
전선은 기본적으로 절연피복이 되어있습니다. 정상상태라면 누전이나 단락에 의한 위험이 적습니다.
만약 먼지가 많은 상태라면 전선이 과열되면서 먼지가 착화될수 있습니다. 먼지가 많이 있다는건 그만큼 오래된 전서이고 그렇다면 누전이나 전선표면에서 열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누적된 먼지는 전선에 냉각을 방해하여 전선이 더 과열되는 역활을 할수 있습니다.
저 심한경우 스파크로 인해 스파크가 먼지에 점화되는 경우도 더러있습니다.
전선 자체보다는 과열 스파크등과 결합한 먼지가 연료역활 하면서 위험을 높이는것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먼지가 많은 전선은 실제로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존재합니다. 그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먼저 먼지는 연소물로 불이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입니다. 불이 쉽게 붙는 가연성 물질이라는 점에서 전선에 과열이나 불똥이 튀기게 된다면 가연성물질로 인해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다음으로 전선 피복 손상과 노후화로 인한 위험요소가 발생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이러한 손상이나 노후화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고 스파크로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전선의 노후화와 먼지 등을 제거하여 화재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 사전적인 요소임을 상기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전선의 먼지는 전기가 흐르는데 저항으로서의 역할을 할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열이 올라가다보니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화재의 위험이 우려되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선에 먼지가 많이 쌓여 있을 경우에는 화재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이러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는 전선의 피복이 미세한 균열이나 벗겨짐이 있을 때 화재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선에 쌓인 먼지가 콘센트 또는 접합부위에 이동할 경우에 화재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관리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