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신박한까마귀
신박한까마귀

주식을 하다보면 주식차트에 보조지표로 여러가지가 있던데 어떤 보조지표를 활용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주식차트에 보조지표로 여러가지가 있던데

어떤 보조지표를 활용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님^^

    먼저 보조지표는 말 그래도 보조지표로서 "보조"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추세/지지저항을 분석 후 매매의 근거를 더 하기 위해 보조지표를 사용해야지 이를 전적으로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먼저 보조지표는 대부분 후행성지표 입니다.

    추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보조지표로는 "이동평균선" "MACD" "볼린져벤드"가 있습니다.

    그리고 추세의 강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보조지표로는 "RSI"가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위의 보조지표만 잘 사용해도 충분하리라 생각 합니다. 보조지표를 사용 할 시 유의 할 점은 동일한 목적의 보조지표를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노이즈가 심하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개인적으로 주식 차트에 있어서 보조지표와 같은 경우 제가 가장 많이 참고하는 이동평균선을 통하여 추세 등을 확인하니 이에 대한 공부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 주식 차트에서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동평균선과, macd, 볼린저밴드, 일목균형표, rsi 등이 있습니다.

    보조지표는 여러가지를 놓고 본인이 분석해서 잘 맞는 지표를 골라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보조지표도 100프로 신뢰할수는 없지만 보통 rsi지수와 볼린저 밴드를 많이 활용합니다. rsi가 70 이상이 되면 시장이 과도하게 매수하는 상태로 매도를 고려해볼 수 있고 반대로 rsi가 30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로 판단해 매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같은 경우에는 볼린저밴드 폭이 좁아지면 반등가능성이 높으며 볼린저밴드 폭이 넓어지면 주가 변동성이 커지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보조지표 중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리자면.........

    1. 이동평균선: 주가의 추세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을 비교하여 골든크로스(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을 상향 돌파)나 데드크로스(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을 하향 돌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상대강도지수(RSI):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70 이상은 과매수, 30 이하는 과매도 상태를 나타냅니다.

    3. 볼린저 밴드: 주가의 변동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상한선과 하한선을 통해 주가의 상대적인 높낮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MACD: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는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를 통해 추세의 방향과 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투자에서 보조지표는 주가의 추세나 방향 강도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투자 스타일에 맞게 보조지표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단기 매매를 선호하는 투자자인 경우에는 RSI, 스토캐스틱과 같은 단기 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장기 투자를 선호하는 투자자의 경우에는 이동평균선이나 MACD와 같은 장기 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만 단일 지표만 의존하지 말고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투자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차트 보조지표는 아주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중에서 저는 RSI와 매물대를 많이 참고합니다.

    RSI를 통해 해당 주식에 대한 매수세와 매도세를 확인하고

    매물대를 통해 어느 구간에 주주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도 보면서 매수 매도 참고합니다.

    물론 제 방식이 정답은 아니오니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제가 참고하는 지표 몇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는 rsi 지표입니다.

    제가 잘 알아서 하는것은 아니고, 남들도 많이들 참고하는 지표라서 믿고 봅니다. 높을수록 과열상태, 그래서 매도를 조금씩 해도될 상황이라고보고, 낮을수록 과매도상태, 그래서 매수를 조금씩 해도 될만한 상황이라고 해석해도됩니다.

    그 외에는 종합적인 지표인 피어앤드그리드 지표도 봅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 투자에는 다양한 보조 지표가 있지만, 초보 투자자라면 이동평균선, RSI, MACD를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동평균선: 과거 주가의 평균을 보여주는 지표로, 주가 추세 파악에 유용합니다.

    RSI: 주가의 변동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매집 과도/매도 과도 판단에 도움이 됩니다.

    MACD: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가 모멘텀을 나타내는 지표로, 매매 시점 도출에 활용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지표들이 있으니,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지표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차트의 보조지표로 많이 사용하는 것에는 이동평균선, RSI, MACD가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평균을 보여줘서 주식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RSI와 MACD는 주가의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매수와 매도의 적절한 시점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 질문해주신 주식 보조지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 보조지표에는 여럿이 있지만 그 중에서 필요한 것으로는

    RSI, 블린저밴드, MACD 등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시고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