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1.17

각나라에서 국부펀드라는것을 운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중동이나 다른 국가들 보면 국부펀드를 조성해서 투자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 투자는 정부보다 민간에서 하는게 더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는거 같은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자금의 원천이 민간이 아니고 정부쪽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운용의 일부는 위탁을 맡길 수도 있겠죠.

    국부펀드는 영어로는 Sovereign Wealth Fund(SWF)라고도 불리며, 정부가 외환보유고와 같은 자산을 가지고 주식, 채권 등에 출자하는 투자 펀드입니다.

    즉, 정부 자신이 직접 운영하며 소유하고 있는 투자기관인 것입니다.

    자금의 원천에 따라 ‘상품에 기초’한 국부펀드와 ‘비상품에 기초’한 국부펀드로 나뉩니다.

    전자의 대표적 예는 아랍 에미레이트의 아부다비 펀드로 원유로 벌어들인 오일머니가 자금 원입니다.

    반면, 후자의 대표적 예는 싱가포르의 테마섹 펀드가 있으며, 우리나라도 한국을 금융허브로 만들기 위해 2005년 200억 달러 규모의 한국투자공사(KIC: Korea Investment Corporation)이라는 국부펀드를 만들었습니다.

    2016년 6월 기준 세계의 국부펀드 순위는 미국 2.8조달러, 일본 1.2조달러, 노르웨이 0.8조달러 순이며 한국투자공사의 펀드규모도 1080억 달러로 성장했습니다.

    국부펀드는 자산 규모가 커지면서 대규모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세계의 자산 및 금융 시장에 잠재적인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국부펀드는 정부 소유의 돈이기 때문에 기업처럼 투자 운용 실태나 실적 등을 공개할 이유가 없죠.

    따라서 국부펀드의 투자 정보가 투명하지 않게 되지만 전략이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기도 합니다.

    국부펀드가 초기에는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자산에 투자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나라의 에너지, 항만, 통신 등 기간산업으로 대상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국부펀드가 이윤추구라는 경제적 동기뿐만 아니라 정치적 목적도 숨어 있을 가능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전략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의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부펀드와 같은 경우 국가의 보유액 중의

    일부를 투자하는 것으로 더 많은 수익을 올림과 동시에

    정치적인 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국가마다 규모가 큰 연기금을 운영하는데 해당 연기금도 잘 운영하면 연기금 원본 자체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주요국들은 다양한 연기금 또는 국부펀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펀드의 규모가 클 수록 수익을 거둘 확률이 크기 때문에 펀드의 규모도 키우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부펀드는 수혜자가 특정되어 있지않으므로 보다 장기적이고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를 민간에서 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부펀드의 경우 국가 정부의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로 국가의 미래세대를 위해 자금을 확대하고, 국가의 기간산업 발전 투자, 국가의 외환보유액 등의 목적으로 각나라 경우 국부펀드를 만들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도 국가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국가 사업이나 복지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을 모두 세금 징수를 통해서 할 수는 없을 것이고, 그것을 위해서 세금을 추가로 징수한다고 하면 반가워할 국민은 없을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유 자금을 투자상품에 투자하는 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의해서 국부펀드는 존재하는 것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7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부펀드의 가장 큰 특징은 투자수익의 최종수혜자가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인 연기금의 경우 최종수혜자는 연금가입자로 확정돼 있으나, 대부분 국부펀드는 차후 수익배분을 받는 주체가 명시돼 있지 않습니다. 국가경제 비상사태에 대비하는 리저브(reserve) 형식 또는 원자재 고갈 등 미래 국가수입이 줄어들 경우를 대비하는 저축성 펀드 등 펀드의 목적을 정의할 뿐 최종수혜자에 대한 정의가 대부분의 경우 없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국부펀드는 여타 정부소유 기금과 비교해 보다 공격적이고 장기수익 추구형의 투자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국부펀드는 또한 펀드설립에 따른 정책적 목표에 따라 크게 저축 펀드, 외환보유고 펀드 및 경제개발 펀드 등 등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저축형 펀드는 주로 원자재 수출국이 자원의 고갈을 대비해 개발수익의 일부를 차세대 저축으로 활용하는 유형이라 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아부다비투자청(ADIA), 노르웨이투자청(NBIM) 등이 이에 속합니다. 외환보유고 펀드는 잉여 외환보유액의 운용수익 극대화에 주목적을 둔 펀드로 홍콩의 외환 페그제 유지를 위한 단·중기 성격의 국부펀드인 홍콩금융청 외환보유고 펀드(HKMA Exchange Fund) 등이 이에 속합니다. 경제개발형은 구체적 펀드의 수익배분에 대한 명시 없이 전반적인 경제개발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펀드로 중국의 중국투자공사(CIC)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