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은 은행입장에선 좋은 소식인가요?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0.5%퍼센트 올린다고 발표했습니다.
금리 인상이 은행이라는 기업입장에선 좋은 소식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은행입장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올라가면 예대마진이 증가함에 따라 이익에는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단, 이자율 상승에 따라 차주의 미상환가능성이 높아 짐에 따라 해당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최근 메스컴 보도에 따르면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권의 역대 최대치의 이익을 얻었습니다.금리인상에 따른 이자수익율이 증가하는것인데 서민들 및 소비자 및 원재료 상승에다 기업들이 힘든 마당에 이처럼 이익을 얻으니 금융권 입장에서는 나쁠이유는 없을것으로 보이네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자 경제계가 일제히 "기업의 경영 및 투자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향후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13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추광호 경제본부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p 인상한 것은 최근 소비자물가의 급등과 미국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감안한 조치였다고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물론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은행은 대출금리(여신금리)는 많이 올리고, 예,적금금리(수신금리)는 적게 올려서 예대마진을 확대해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은행이라는 기업의 입장만 놓고보면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호재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과 같은 경우에는 은행입장에서는 호재로 작용합니다.
왜냐하면 대출금리가 더 높게 결정됨에 따라서 예대마진의
차이가 벌어져 은행입장에서는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그런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자체는 은행에게 빌려주는 이자율이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오른다고 바로 은행의 이익에 반영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기준금리에 자신들의 이익 등을 더얹어 이자율이 나오고 금리상승분이 대출이자 즉 그들의 수익을 늘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금리 상승은 금융권에 있어서는 좋을 수 있습니다.
금리인상은 은행에게 좋은 소식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금리인상이 은행에게만 좋을까요??
기업이 부도나면 그 부채는 어떻게 갚을수 있을까요 ㅎㅎ
지속적인 금리인상은 은행, 기업에게 장기적으로는 좋은소식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