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만약에 지구에 중력이 수축해서 온도가 높아지면 원시별이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원시별의 경우

중력수축으로 인해 우주 구름이 응축하면서 온도가 급상승해서

생성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만약에 지구에도 동일힘으로 중력이 수축해서 온도가 높아지면 원시별이 생성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우주 구름 즉 원시 태양계 성운이 자체 중력으로 인해 수축하면서 중심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마침내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1000만 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반응이 일어나고 수축이 멈추게 됩니다. 이때부터 비로소 정상적인 별, 즉 주계열성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어느 천체에서 중력의 크기는 질량과 반지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원시 태양계 성운은 기체 상태이기 때문에 중력과 기체 압력이 준평형을 이루면서 수축할 수 있지만, 고체 상태인 지구의 경우 내부 탄성력과 중력이 균형을 이루어 내부 구조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수축할 수 없고 중력도 변하지 않아 중력에너지를 방출할 수 없습니다.

    어떤 원시 성운이 항성이 되기 위해서는 중심부에서 행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기 위해서는 성운의 질량이 최소한 태양 질량의 8%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목성의 경우 태양 질량의 0.1%밖에 되지 않아 중심부의 온도가 십만도 이하라서 항성이 되지 못하고, 결국 천천히 식어서 행성이 되고 말았네요. 지금이라도 목성의 질량이 100배 정도 커질 수 있다면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으로 변신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원시별이 형성되는 과정은 대규모의 가스와 먼지 구름이 중력 수축을 겪으면서 발생하게 되는에 얼만큼의 질량에 의해서 나타는지가 중요합니다! 지구는 태양의 질량에 1/333,000이므로 원시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질량이 아니죠! 중력수축과 온도상승은 물론 중요하지만 질량이 크지 않으면 항성을 형성될수가 없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