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고결한소쩍새194
고결한소쩍새194

한류로 인한 외국의 한우에 대한 인식수준

한류로 인하여 유행하는 것중에 음식문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외국 사람들에게 한우에 대한 인식수준은 어떠할까요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 입니다. 최근 외국인 들도 한우에 대해서 굉장히 인식이 높아지고 선호하고 있으며 뉴욕의 경우에는 한국식 스테이크 한우 식당이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줬습니다. 물론 해당 고기는 미국산 소고기이긴 하지만 한국식으로 석쇠에 구워서 제공하는 고급 식당으로서 주요 손님으로는 데이비드 베컴이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한우 품종에 대해서도 외국인들은 마블링이 있는 걸 대부분 싫어하지만 이러한 한국식 석쇠 구이 방식으로 먹는 방법에 대해서도 선호하는 외국인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한류로 인한 외국인의 한우에 대한 인식입니다.

    정확한 데이터나 연구가 진행된 것이 아니기에

    수치화된 인식에 대해 알기 힘들지만

    한우가 해외로 많이 수출되는 품목은 아니지만

    한국에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는 분명 깊은 인상을 남기는 것은 분명합니다.

    한국의 독특한 BBQ 문화와 더불어서

    세계로 퍼져나가기를 바랍니다.

  • 아무래도 해당 내용 자체가 경제와 관련된 질문이라고 보기는 힘든 질문으로 보이세요. 한우에 대한 인식자체는 외국인들이 먹어도 크게 맛차이가 나지 않다 보니 인식이 개선될 것이 없다고 보여요

  • 외국인 친구가 몇명 와서 한우, 삼겹살, 닭갈비, 치킨, 짜장면 다 먹어봤었는데요

    매운것만 아니면 다 입맛에 맞고 맛있다고 하더군요 그것을 먹기위해 다시 방문을 계획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날것에 대한 부분을 거북해합니다. 한우도 바싹익힌 것이면 모를까 회도 아예 못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외국 사람들은 한우를 아주 특별하고 맛있는 고기로 생각합니다. 한우는 부드럽고 풍미가 좋아서 외국 사람들이 특히 좋아합니다. 한우라는 브랜드는 한국에서만 나는 고기라 외국에서는 더 귀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한우를 먹어본 외국인들은 다시 먹고 싶어합니다.

  • 한우와 같은 경우 2022년을 기준으로 하였을 떄, 해외 수출 물량이 44톤인 등 이에 따라서 아직까지는 아쉬운 수준이나 2025년부터 연간 1천톤이 넘는 한우가 해외로 수출될 것으로 보이는 등 이에 따라서 발전 중인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