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12

민주주의의 창시는 누구에 의해 생긴개념일까요?

민주주의는 현대사회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정치이념인데요. 이런 민주주의는 누구에 의해 최초 성립된 개념인가요?

사회주의는 스탈린인데 민주주의는 모르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주주의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유래하였는데 고대 그리스어의 데모스 (Demos →민중;시민;다수)와 크라티아 (Kratia →;권력;지배)의 합성어인 데모크라티아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 →국민에 의한 지배)가 민주주의의 어원이나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는 각 폴리스에 한정된 시민에게만 참정권을 인정했을 뿐이었다. 예컨대 여성이나 노예는 시민으로 인정되지 못하였으며, 그리스인이라고 하여도 다른 폴리스에서 이주한 사람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지는 일이 드물었다. 아테네를 비롯한 민주제는 군주제 국가나 과두제 국가와 경쟁하며 혼재하였다.


    의외로 현대와 가까운 민주주의 시작은 클레이스테네스와 같은 그리스나 로마의 민중파 귀족들이 귀족파 귀족들과 싸워서 이기거나 많은 것들을 제공하여 양보를 얻어낸 것이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주주의는 기원전 5세기 무렵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인 아테나이를 중심으로 한 아티키에서 시작된 정치 체제이며 세계 최초 의 민주주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주주의는 고대그리스의 아테네 아고라광장에서 직접민주주의가 실현되어 전해져 내려왔으며 근대 민주주의는 18세기 사회계약설을 주장한 루소의 직접민주제에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마르크스가 사회주의 이론을 만들었다면 막스베버가 자본주의 이론을 만들었고 루소가 근대 민주주의를 주장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BC507년에 클레이스테네스라는 아테네의 지도자가 있었는데, 데모크라티아(Demokratia)라는 정치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게 국민에 의한 통치 라고 부루는 개혁인데 최초로 알려진 민주주의입니다.

    그래서 영어로 민주당도 Democratic Party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