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이 잘 드는 체질도 있나요?
저는 어려서부터 몸에 피멍이 잘 들어요. 여름에 까슬한 옷이나 뜨게질한 옷도 입지 못해요. 그런데 친정엄마도 그러셔서 그냥 그런 체질인가보다하고 지금껏 살았어요. 다른 아픈데도 없고 금방 없어지고해서요. 그런데 점점 더 심해지는거 같아서 슬슬 걱정이되네요. 얼마전에는 슬픈 드라마 보다가 울면서 눈을 좀 비볐는데 눈밑에 멍이 들었고요ㅠ 또 얼마전에는 병원에 갔는데 제 등을 보고 의사샘이 놀라시더라구요~ 어떤 날은 이불자국이 멍처럼 남기도 하거든요ㅠ (누가보면 매맞는 아내같아요ㅠㅠ) 현재 특별한 지병이나 복용하는 약은 없는 상태입니다. 왜 이런건지....저랑 저희 엄마말고 이런사람 또 있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복용하시는 약이없고 혈액검사상 혈소판감소증등 출혈성질환이 없다면 큰 문제가 될것 같지는 않 습니다. 피하지방층이 적어 혈관에자극을 많이받거나 혈관이약한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소판이 부족하거나 혈액응고인자에 이상이 있는 경우, 간기능저하로 인해 응고인자가 부족한 경우에 멍이 잘 들수 있습니다.
자반병이 동반 될 수도 있겠구요
약물에 의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반병일 가능성을 고려 해 보시고 피검사도 한번 시행 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리 몸은 출혈이 있을 때 (피가 날때) 멈추는 기능을 하는 혈소판이 있습니다.
이 혈소판 수치에 문제가 생기거나 지혈을 도와주는 인자들이 부족하면 멍이 잘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물론 본인이 부딪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멍이 생길 수도 있지만,
이전에 비해 멍이 많이 든다면 내과 내원하셔서 혈액검사 포함하여 검사한번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되셨길 바랍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자주 멍이 드시는 경우에는 혈액응고장애 등 혈액질환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생활하시면서 건강검진을 받으면서 혈액검사에서 어느정도 걸러지기는 합니다만 건강검진은 말 그대로 기본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혈액 응고 인자를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질문자분께서는 혈액내과에 방문하시어 정밀검사를 한 번 받아보시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병원 내원하여서 피검사는 하지 않았을까요
지속적으로 멍이 든다면 혈액 응고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멍 드는 것이라면 몰라도 이로 인해 뇌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머리 부위 충돌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선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내과 내원하시어 검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영기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남성분이시라면 선천적으로 멍이 잘 드는 질환이 있습니다.
혈우병(hemophilia)이라고 하며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혈액 내의 응고인자(피를 굳게 하는 물질)가 부족하게 되어 발생하는 출혈성 질환입니다.
혈우병은 약 10,000 명 중 한 명 꼴로 발생하는데, 혈우병 A는 혈장 내 제 8 응고인자가 부족한 병으로, X 염색체에 위치한 F8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제8 응고인자(Factor VIII) 생산에 장애가 발생하여 나타납니다. 이와 유사하게, 혈우병 B는 F8 유전자 부근에 위치한 F9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제 9 응고인자가 부족하게 되어 발생합니다.
X 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기 때문에 X 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때문에 거의 모든 경우에 남성에게 발생하며, 원인이 되는 유전자 이상은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습니다. 여성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X염색체의 무작위 불활성 현상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은 관절 내 출혈, 연부조직 출혈, 근육 내 출혈 등 심부 조직의 출혈부터 해서 가벼운 출혈까지 다양합니다. 반복적인 출혈로 인해 관절의 형태적, 기능적 이상이 점차 심해지고, 근육을 비롯한 심부 조직의 출혈로 인해 주변의 혈관 및 신경을 누르는 구획증후군 등이 올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혈액 응고인자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이 있을 때 정밀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으며, 8응고인자 또는 9 응고인자를 포함한 혈장제제의 수혈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치과 치료와 내시경 검사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출혈이 예상되는 의학적인 시술 및 수술은 반드시 혈액 전문의와 사전에 상의하여 미리 응고인자를 보충하는 등 출혈 시 대처 방법을 확보한 후에 시행해야 합니다.
혈우병 환자는 출혈 경향이 높기 때문에 외상을 입지 않도록 유의해야 하나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운동을 할 것인지는 환자의 신체 상태나 관절장애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축구 등의 격렬한 신체 접촉이 많은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스피린과 같이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은 피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쉽게 멍이 드는 것이라면 지혈과 관련된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만약 지혈 작용에 문제가 있다면 가족력으로 인해 생기는 질환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