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간편식의 끝판왕 의 김밥 의 탄생 배경과 시기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간편식의 끝판왕 의 김밥 의 탄생 배경과 시기가 궁금합니다
초기의 김밥은 지금의 김밥과 어떻게 다를까요?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맛소클짱입니다.
김밥은 일본의 김초밥(노리마키)의 일종인 후토마키가 한국에 현지화된 음식으로, 한국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속재료를 넣고 참기름과 소금, 참깨 등으로 간을 하는 방식으로 현지화되었대요.
처음엔 일제강점기 때 한국으로 전파된 것에서 시작했으나, 오늘날 한국에서는 수십년간 한국식 변형을 거치고 재탄생하여 상당히 대중적인 한식이 되었고, 다양한 종류의 김밥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저도 김밥 무지 좋아하는데 급 김밥 먹고 싶어지네요^^
안녕하세요. 밝은물수리122입니다.
조선시대에 김에 대한 기록은 있으나 김밥에대한 자료는 없다. 일제강점기에 일본도시락문화로 전해졌다는 일본기원설이 타당할것이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밥이 시작된 시기는 정확한 기록이 없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가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가장 쉽게 먹을수 있는 것이 주먹밥부터 시작을 해서 김밥으로 이어져 온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냉철한줄나비274입니다.
김밥의 탄생 배경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초밥을 한국식으로 변형시켜 만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초밥은 생선을 밥에 얹어 만든 음식으로, 한국에서는 생선을 넣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의 김밥은 지금과는 조금 재료와 생김새가 달랐습니다. 초기의 김밥은 밥의 양이 적고, 재료도 단순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날의 김밥은 밥의 양이 많고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들기도 하여서 하나의 식사 개념으로 자리를 잡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