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참치님
참치님

경제지표에 대해서 너무 궁금합니다.

Cpi, pmi, pce, ppi, ism 제조업지수, 비농업고용지수, 실업청구수당 등등 각각 지표가 무엇에 대한 지표이며 어떤 영향을 시장에 가져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 CPI(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측정하여 인플레이션을 파악합니다.

    - PMI(구매자구매관리지수):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활동 수준을 나타내며 경기 전망을 제공합니다.

    - PCE(개인소비지출): 소비자 지출 패턴을 측정하여 경제 성장률을 예측합니다.

    - PPI(생산자물가지수): 생산자가 생산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인플레이션을 예측합니다.

    - ISM 제조업지수: 제조업의 활동 수준을 나타내며 경기 전망을 제공합니다.

    - 비농업고용지수: 비농업 부문의 고용 상황을 나타내며 경제 성장과 미래 경제 상황을 예측합니다.

    - 실업청구수당: 실업자들이 받는 수당을 나타내며 고용 상황과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경제 지표들은 시장 참여자들이 경제 상황을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CPI는 

    미국 도시 소비자들

    의 재화 및 서비스 구매비용의 변화정도를 측정한 값입니댜.

    PMI는 

    미국 각 산업 부문의 구매 및 공급 담당 임원 대상 설문 조사를 토대로 매월 발표하는 경제종합지수 입니다.

    PCE는 

    가계와 민 간 비영리단체의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합한 경기 후행지수로 개개인이 얼마나 소비 지출을 했는지 보여주는 통계 지표입니다.

    PPI는 

    생산자가 물건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사용 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가격(도매가) 지표로 전체 인플레이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물가 인플레 이션의 선행지표입니다.

    ISM은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자재부장님들을 대상으로 신규주문, 생산, 고용, 재고, 고객의 창고에 있는 재고, 원자재가격, 원자재 배송속도, 수주잔량, 수출, 수입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설문을 토대로 나온 지수입니다.

    비농업고용지수는 

    농축산업을 제외한 전월 고용인구수 변화 를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 (CPI)

    특정 기간 동안 가계가 구매하는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시장 영향: 높은 CPI는 인플레이션 증가를 나타내 금리 인상, 소비 위축, 투자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CPI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시사하며 경기 침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2. 구매관리자지수 (PMI)

    특정 산업 종사자들이 경제 상황을 평가하는 설문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시장 영향:높은 PMI는 해당 산업의 경기 호황을, 낮은 PMI는 경기 침체를 나타냅니다. 투자자들은 PMI를 통해 미래 경제 성장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3. 개인 소비 지출 (PCE)

    가계가 상품과 서비스에 지출하는 금액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시장 영향:높은 PCE는 소비 증가를 보여 경제 성장 가능성을 높입니다. 반대로 낮은 PCE는 경기 침체를 시사하며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생산자물가지수 (PPI)

    기업에서 생산한 상품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시장 영향:높은 PPI는 기업의 수익 증가를 가져올 수 있지만,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울 수 있습니다. 낮은 PPI는 기업 수익 감소를 초래하며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입니다.

    5. ISM 제조업 지수: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서 매달 조사하는 제조업 활동 지수입니다.

    *시장 영향: 50 이상의 지수는 제조업 확장, 50 미만은 침체를 나타냅니다. 높은 지수는 주식 시장 상승, 투자 증가를 촉진하며, 낮은 지수는 경기 침체 우려를 키워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6. 비농업 고용 지수:

    전월 대비 비농업 부문(농업 제외)에서 신규 고용된 인원 수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시장 영향:높은 지수는 강력한 노동 시장을 보여 경제 성장 가능성을 높입니다. 반면 낮은 지수는 취업 시장 악화를 나타내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울 수 있습니다.

    7. 실업 청구 수당:

    지난 일주일에 실업 급여를 신청한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시장 영향:높은 청구 수는 실업률 증가를 보여 경제 활동 위축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낮은 청구 수는 강력한 노동 시장을 보여 경제 성장 가능성을 높입니다.

    마음에 드시면 좋아요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