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신대부적오함마
신대부적오함마

내륙분지는 왜 눈이랑 비가 적게오나요?

대구가 대표적인 내륙분지로 알고있습니다. 이러한 내륙분지는 왜 여름에는 비, 겨울에는 눈이 다른지역보다 적게 오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이 적고 지표면에 물이 적기 때문입니다. 보통 지표면의 즉 바다나 계곡등에서 수증기가 올라가서 비가 내리는데 이런 경우가 적게 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오려면


      1.눈을 뿌릴 만큼의 습기가 있어야 하고


      2.섭씨 0도씨 이하의 기온으로 떨어져야 하겠지요.



      부산이나 제주처럼 남해안일대의 도시에서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이유는


      바로 기온때문입니다.


      남해안일대는 위도가 낮아서 상대적으로 온난하지요.


      최한월평균기온 또한 0도씨를 넘습니다.





      기온이 낮아도 눈이 안내리는 도시도 있는데,


      질문자가 말씀하신 곳, 대구입니다.




      이런 도시는 분지지형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분지란, 쉽게 말해


      산으로 빙 둘러싸인 도시입니다.


      산으로 둘러싸이면, 습기를 포함한 바람이 불어올때,


      산에 부딪혀서 도시바깥쪽에만 비나 눈을 뿌리고,


      도시 안으로 불어오는 바람은 고온건조해집니다.


      이것이 바로 "푄 현상"이란 것이죠.






      습기를 머금고 있어야 눈을 뿌리는데,


      이미 산을 넘기전에 비나 눈을 뿌렸으니 바람은 건조해집니다.


      또, 그렇게 비나 눈을 뿌리게 되면


      건조단열압축이 되어 분자간의 충돌이 늘어나


      바람의 온도는 높아지게 되지요.


      온도나 습도 모두 눈이 내리기에 불리한 조건이 되지요.


      그래서 눈이 내리지 않게 되는 겁니다.

    • 비나 눈은 결국 물방울이 떨어지거나 얼면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내륙 분지는 바닷가 주변 보다는 수분이 적습니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물의 양이 부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