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루틴메뉴얼
루틴메뉴얼

선물거래시 격리, 교차가 무슨말인지 궁금합니다.

숏, 롱은 이해가 되는데요.

레버지리 할때 격리, 교차가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격리, 교차로 베팅한다는게 무슨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선물 거래 방법에는 '교차거래'와 '격리거래' 방법으로 2가지가 있습니다.

      • 교차거래 - 내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투자금을 보증금으로 사용하는 거래
        예를 들게 되면, 내 계정에 100만원이 있는데 이 100만원 전체를 선물거래를 위한 증거금으로 사용하기 떄문에 청산가격의 폭이 넓어질 수 있는데, 50만원이 있는 경우에는 위로 10원만 올라도 청산당하지만 100만원은 증거금으로 하는 경우에는 20원이 올라야 청산을 당하게 됩니다.

      • 격리거래 - 보유하고 있는 투자금을 포지션에 들어간 투자금과 유보 투자금으로 분리해서 거래
        예를 들면 100만원의 자금을 계정에 넣어둔 상태로 30만원만 일부 빼내에서 다른 계정에 넣어두고 이 거래에 한해서는 30만원만 보증금을 사용하여 거래를 하게 됩니다. 격리거래는 원금의 손실을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막으나, 청산가격이 빨리 도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교차거래는 투자금을 올인하시는 전략이고 투자금액이 크다 보니 청산금액의 폭이 넓지만 격리거래의 경우는 대게 투자금의 일부를 가지고 거래를 하게 되니 청산금액의 폭이 좁아지게 됩니다. 올인이냐 혹은 분산투자이냐로의 차이로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에서 "격리"와 "교차"는 레버리지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격리는 전체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 자산 또는 투자의 수익을 높이기 위해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는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다른 주식이나 자산 보유를 변경하지 않고 특정 주식에 대한 노출을 늘릴 수 있습니다.

      반면 교차는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포트폴리오의 수익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두 경우 모두 레버리지의 목표는 수익을 높이는 것이지만 레버리지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다릅니다. 격리는 좀 더 표적화된 접근 방식인 반면, 교차는 전체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총체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결정을 내리기 전에 레버리지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이해하고 각 접근 방식의 위험과 이점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레버리지는 수익률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현명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