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별과 행성은 관측시 어떤 식으로 구분이 가능한가요?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다른 별의 빛을 반사하고 별은 스스로 빛을 낸다는데 관측시에는 둘 다 빛이 나는건데 이 둘을 어떤 식으로 구별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별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행성에 비해 관측이 비교적 쉽습니다.

    행성을 탐사하는 방법-행성의 존재 유무 파악-에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별빛의 도플러 현상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항성이 행성을 갖고 있다면 항성도 둘 사이의 공통질량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할 것입니다. 공전하는 동안 지구와의 거리가 수시로 변하며 이에 따라 지구에 도달하는 별빛의 스펙트럼에도 주기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이를 뷴ㅣ분석하여 행성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식현상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행성이 항성의 앞을 지나가면 행성의 면적만큼 빛이 거려지므로 항성의 밝기에 변화가 나타납니다. 이변화가 주기적이라면 행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미세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행성을 가진 항성이 다른 항성의 앞을 지나갈 때 항성에 의한 중력렌즈 효과와 더불어 행성에 의한 중력렌즈 효과도 일어납니다.

    네 번째는 직접 관측하는 것입니다.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의 경우에 가능합니다. 별빛은 행성이 반사하는 빛에 비해 매우 강하므로 중심의 별을 가리고 온도가 낮은 영역의 빛-적외선 등-을 관측하면 보이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