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잠이 잘 안오면 어떡하죠?
밤에는 잠을 자려고 하면 무서워서 잠을 못 자겠어요. 자려고 불끄고 누우면 자꾸 생각이 많아지고 무서워요. 그렇다고 불을 키면 너무 밝아서 못 자겠고 낮에 좀 해 질때쯤 자서 2시간 정도 자고 매일 이런게 반복이에요. 코로나때문에 수업도 집에서 듣다보니 이런 ㅍㅐ턴이 자꾸 반복을 해서 어떡해야할지 모르겠어요!ㅜㅜㅜㅜ밤에 잠을 잘 자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ㅜㅜㅠ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불면증의 치료방법에는 약물을 통한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 비약물적 치료 단독으로 실천하거나 약물치료와 함께 병행할 수 있습니다. - 다음의 비약물적 치료법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해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1. 수면 위생 개선 - 1) 다음날 피곤하지 않을 정도만 주무십시오.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을 줄이면 수면의 질이 높아질 수 있으나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이 너무 길면 잠이 얕아지고 자주 깨게 됩니다. - 2) 아침에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밤에 잠드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만드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 3) 매일 적당량의 운동을 지속하는 것은 잠을 잘 자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어쩌다 한 번 운동을 열심 - 히 했다고 해서 잠을 자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 4) 자는 동안 심한 소음은 잠을 방해하기 때문에 조용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 5) 침실이 너무 더우면 잠을 방해합니다. 너무 추운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침실에 덥거나 춥지 않도록 온도를 유지하십시오. - 6) 배가 고프면 잠에 방해가 됩니다. 우유나 스낵과 같은 간단한 음식을 드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7) 일시적인 수면제는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인 수면제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8) 저녁에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를 마시는 것은 잠을 방해합니다. - 9) 술은 잠을 빠르게 들게는 하지만 중간에 자주 깨도록 만듭니다. - 10) 잠에 들기 위해 너무 애를 쓰지 마십시오. 잠이 오지 않고 긴장이 되고 힘들 때에는 너무 환하지 않게 불을 켜고 독서를 하거나 음악을 듣는 것이 수면에 도움이 됩니다. - 2. 수면제한법 - 1) 자신이 원하는 기상시간을 정하십시오. - 2) 몇 시간 정도를 자면 만족할지를 생각해 보십시오. - 3) 이를 바탕으로 취침시간을 정하십시오. - 4) 수면효율이 85% 이하라면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15분씩 줄이십시오. - 5) 수면효율이 90% 이상에 도달하면 잠자리에 누워 있는 시간을 15분씩 늘리십시오 - 3. 자극조절 - 1) 졸릴 때에만 자리에 누우십시오. - 2) 잠이 오지 않으면 10분 내지 15분 정도 후에 다시 일어나십시오. - 3) 거실에 앉아서 스탠드만 켜 놓고 책을 읽거나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하십시오. - 4) 졸리면 다시 잠자리로 들어가서 잠을 청하십시오. - 5) 2)-4)의 과정을 반복하십시오. - 6)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십시오. - 7) 잠자리는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하십시오. - 8) 낮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 졸린다면 30분 이내로만 주무십시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의 테크닉 - 수면이 안좋아지는데에는 정신적 컨디션의 이유가 큽니다. - 정신적 컨디션이 안좋아지는데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 우울증, 공항, 오늘 하루에 대한 불만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 이러한 정신적 컨디션을 관리를 하셔야합니다. - 또한, 음식조절도 하셔야하는데, 자극적인 음식이나, 커피등을 많이 드시면 안됩니다. - 또한, - 낮에 충분한 햇빛을 받으셔야합니다. - 이러한 방법에도 수면에 장애를 겪으시면 - 병원에 내원하시거나 수면유도제나 수면제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의 질 높이는 방법을 소개해드리자면 - 운동을 조금이라도 하셔야합니다. (활동양이 적으면 몸은 피로하나 잠이 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 낮잠을 주무시는것은 좋지만 30분넘게 주무시는것은 밤잠을 방해하므로 좋지 않습니다. - 금연하는것이 좋고, 흡연을 하시더라도 수면전 2~3시간 전에는 금연하셔야합니다. - 과도한 커피를 마시면 안됩니다. - 수면 전 2~3시간전 족욕이나 반신욕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전체적인 몸의 이완에 도움을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낮시간에 햇빛을 10분이상 쬐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도움이 되는 습관들을 설명드리면 - 자극이 많이 되는 음식 (당분이 너무 많은 음식, 짠음식, 매운음식)등을 피하셔야합니다. - 과한 카페인을 피하셔야합니다. - 자기전 술을 드시면, 잠이 빨리 들 지언정 효율이 높지 않게 되므로 주의하셔야합니다. - 따뜻한 우유를 마시는것이 좋습니다. (다만, 유당불내증이 있는경우, 피하시거나, 락토프리 우유를 드시는것이 좋습니다.) - 상추나 바나나 등의 식이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드시면 좋습니다. - 낮잠을 과하게 주무시면 안됩니다. - 스트레스관리를 잘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소 수면의 효율이 좋지 않아서일수 있습니다. - 수면효율 높이는 법 - 식곤증이 와서 낮잠을 많이 주무시는 분들이 많은데, 수면패턴이 망가지는 지름길입니다. - 낮잠은 10~20분정도만 주무시고 조금 힘드시더라도 깨어있으셔야 밤에 잠을 잘 들 수 있습니다. - 커피,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의 양을 조절하셔야합니다. (개인차가 많아서 자신이 얼마나 마셨을때 잠이안오는지 체크를 하셔야합니다. ) - 운동을 하셔야합니다. - 적당한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수면전에 밀가루 음식등의 소화가 잘 안되는음식을 드시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숙면을 위한 방법들 - - 낮잠을 오랜동안 자면 안되십니다. (20분이상 X) - => 보통 밤에 잠 못드시는 분중에 낮잠을 오랜동안 주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낮잠을 10~20분 자는것은 낮생활의 식곤증을 이겨내고 활발한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그 이상 주무시는것은 생활리듬에 영향을 줘서 밤에 주무시는데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커피, 음료수,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 자기전 최소 7시간 전에 금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 주의하실것이 콜라등의 음료수에도 카페인이 들어있다는것입니다. 저녁에 식사하실때 치킨이나 피자 등을 드시더라도 콜라를 드시면 밤에 주무실때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 - 규칙적인 운동 (단, 수면3~4시간안에 운동하는것은 X) - -자기전에 수분을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는거 피하셔야합니다. - => 자기전에 과도하게 수분을 섭취하시면 새벽에 화장실에 가고싶어 잠이 깨기때문에 피하셔야합니다. - - 자기전 흡연 금지 - => 흡연은 각성효과가 있기 때문에 최소 3시간전에 흡연하시는것을 피하셔야합니다.. - - 잠들었다 깨었더라도 시계 보지 않으셔야합니다. - - 기상시간, 수면드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셔야합니다. - - 기상후 햇볕을 쬐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잠을 자기 어려운 원인이 불안감 때문이라면 불안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입니다. 불안감의 원인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 수는 없지만, 근거 없는 불안이라면 생각을 다른 곳에 집중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만약 혼자서 조절하기 어려운 불안 증상이라고 하면 어쩔 수 없이 병원에서 항불안제를 처방 받아 드시는 것이 필요할 듯 하구요. 긴장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저녁 식사 후에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샤워를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