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눈과 비가 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름은 작은 물방울들이라고 하잔하요~ 그런데 구름이 잔뜩 끼어 있어도 비가 내리지 않을때가 있던데요~ 하늘에서 눈과 비가 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대기중에 작은 물방울이 떠 있는 상태가 구름인데, 일정량 이상의 물방울이 모이면서 땅으로 떨어지게 되면 비가 되고, 기온에 따라서 눈으로 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하늘에서 눈과 비가 오는 이유는 대기중에 포함되어있는 물방울이나 얼음결정들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면서 지표면으로 덜어지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죠~ 비는 대기중의 수증기가 응축되면서 작은 물방울이 형성되고 주변에 구름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될때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구름 내의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지게 되면 더 큰 물방울이 되고 수분이 많은 공기와 강한 상승에 의해 더욱 활발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충분히 커지면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며 하강하게 되는데 이과정이 우리가 알고 있는 비 인것이죠! 물방울이 커지는데 필요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비가 내리지 않게 됩니다! 눈이 오는 괒어은 대기 중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게 되면ㅅ ㅓ구름 내의 수증기가 직접 얼음결정이 되며 응결핵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작은 얼음 결정들이 구름 내의 수증기를 계속해서 흡수하면서 성장하고 이 괒어에서 결정들이 서로 충돌하여 더 큰 얼음 입자를 만들게 하는데 결과적으로 똑같이 중력의 영향으로 하강하게 되지요! 구름이 보이지만 비나 눈이 안내리는 이유는 물방울이 그만큼 크지 않거나 많은양의 물이 과냉각되지 않아서 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