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는 어느지역에서 가장먼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치는 대한민국 대표음식인데 지방마다 맛이 다르고 특색이 있는데 어느 지역에서 가장 먼저 김치를 만들어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치의 유래는 인류가 농경문화를 정착시키면서 곡물을 주식으로 하게 되었으나, 인체는 곡물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뿐 만 아니라 조절소인 무기질과 비타민을 필요로 하므로 이들도 늘 섭취하여야만 생명을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질과 비타민의 중요한 급원인 채소는 겨울에는 생산할 수 없었으므로, 가을에 생산한 채소를 이듬해 봄까지 저장하면서 섭취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채소를 소금물에 담가서 겨울동안 보관하면서 먹을 수 있는 김치를 발명 해낸 것이다.
문헌에 보면 김치로 생각되는 말은 약 3,000년 전의 詩經에 저(菹)라고 처음 등장하는데 이 글자는 조(阻)라고도 하였다. 이것은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키면 젖산이 생기고 이 젖산이 소금과 더불어 채소가 짓무르는 것을 막는다는 뜻에서 쓰인 것이라 하였다. 즉 저(菹)는 채소를 젖산발효 시켜서 신맛을 띠게한 채소가공식품인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김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나 문헌상으로는 고려중엽 이규보의 가포육영(家匍六詠)이란 시에 처음으로 염지(鹽漬)란 용어로 등장한다. 배추나 무를 소금에 적신다는 뜻으로 중국의 저(菹)가 우리 나라에서는 漬로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 김치란 말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박갑수씨는 침채(沈菜)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였다. 즉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물속에 잠기게 하였으므로 한자식 표현으로 沈菜라고 표기하였고 팀채로 발음하였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음운변화를 받아서 팀채 - 딤채 - 짐채 - 김채- 김치로 되었다고 설명 하였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김치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김치의 원형은 산나물을 담그는 식으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현대적인 김치가 만들어진 시기나 장소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이미 김치가 많이 소비되었으며, 김치의 종류도 다양해졌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인 17~18세기에는 김치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매운 김치, 동치미, 백김치, 나박김치, 무생채 등 다양한 종류의 김치가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김치가 처음 만들어진 지역이나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오랫동안 우리나라 식문화의 핵심적인 음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까지도 국민적인 음식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