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4.02.03

변방의 국가인 고대 우리나라는 사대주의가 심했다는데 사대주의가 무엇인가요?

사극이나 역사를 공부하거나 시청하다보면 변방의 조그마한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북방의 침략을 많이 받고 이로 인해서 사대주의가 아주 심했다고 하더군요.. 사대주의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는 신하로서 큰 나라흘 섬기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대외교를 일컫습니다.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에서 전근대 시대에 있었던 외교 관계입니다.

    특히 조선시대는 사대교린 정책으로 명을 사대하고 일본과 여진에 대해서는 교린 외교를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사대는 형식적, 절차적인 관계이고, 일방적이지 않습니다. 사대의 의미로 조공과 책봉이 있으며, 회사를 통해 실리적인 무역이 가능했습니다. 또한 국왕은 지위를 인정받아 정치적 안정을 유지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는 자국보다 강한 국가, 세력에

    복종하거나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주의를말하는 것으로 20세기 초반에 국수주의자들이 크고 강한 국가에게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당시의 지배층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말입니다. 예를 들어 사대교린은 한민족의

    전통적인 외교정책이었으며, 국제 질서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책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事大主義; Sadaejuui , flunkyism, toadyism)는 자국보다 강한 국가, 세력에 복종하거나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주의를 말합니다. 사대주의는 20세기 초반에 국수주의자들이 크고 강한 국가에게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당시의 지배층들을 비판하기 위해 만든 말입니다. 사대(事大)라는 말은 그 이전에도 있었으나 사대주의라는 단어에서 보이는 부정적인 의미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0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대주의 사전적 의미로는 주체성 없이 세력이 큰 나라나 강한 자에게 붙쫒아 복종하고 섬기며 자신의 존립을 유지하고자 빌붙고자 하는 의식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