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사과도
사과도

찬물 먹을때 이시림 정도가 어느정도인가요??

30대 남성 입니다. 냉장고에 들어가있는 정도에 찬물을 마시면 이가 시려서 눈물이 찔끔나올정도입니다. 저는 사람들이 다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내 치아 상태가 안좋아서 그런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눈물이 나올정도면 치아 상태가 좋지 않은건가요?? 예전에 잇몸상태가 건강하지 않다는 말은 들어봤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푸른하늘이
    푸른하늘이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가 찬물에 반응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과도한 마모가 있을 경우에 는 찬물에 통증이 느껴질수 도 있어요 또한 나이가 어려서 치아안의 신경관이 큰 경우에도 시린증상이 크게 느껴질수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충치, 마모, 잇몸질환, 크랙등이 심할 경우 심하게 시릴 수 있습니다.

    순간적으로 시린정도는 치아에 이상이 없어도 시린경우도 있습니다.

    시린것이 1분이상 가거나, 머리가 아플정도로 통증이 있다면 신경치료를 해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것은 검사를 해봐야 알 수 있기때문에, 치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주 차가운 물을 마실 경우 치아 시린 증상은 당연합니다.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잇몸 및 치아 신경이 반응을 하여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지근한 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서도 시린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병적인 상태가 맞습니다.

    따라서 미지근한 물이나 바람 등에 시리다면 가까운 치과 방문하여 검진 후 치료하는 것이 맞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찬물을 마실 때 이가 시린정도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하시군요.

    냉장고도 보관하는 냉장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말씀드리기가 어렵지만

    찬물을 치아에 갖다대면 시린증상은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하지만 시린증상이 물을 마신 직 후에도 지속되는 지연통증으로 있다던지

    매번 찬물을 마실 때마다 시린증상이 심하다던지 하는 것은 치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연적으로 칫솔질이나 치아교합압(씹는힘)에 의해 잇몸경계에 있는 치아부분이 미세하게 깨져나가는데요

    이렇게 되면 차가운것이 그 잇몸경계에 있는 치아부분에 닿이면 시린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치 패딩을 입고있는데, 허리춤의 패딩부분만 찢어져 나가게 되었을때 허리부분에 바람이 들어오면 시리고 추운것과 같은 것입니다.)


    만약 시린것이 위의 증상때문이라면 간단하게 코팅이나 떼움(GI나 레진을 사용합니다)으로써 시린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린이유가 치아의 충치가 심해져서 치수(치아에서 신경과 혈관이 분포한 부분)에 염증이 생겼다면 위의 처치로는 증상을 개선하기 어렵고 신경치료 등을 하셔야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시린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여러가지고, 원인에 따라 해결방법이 다르므로 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