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휴화산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나요?

제가 학교에 다닐 때는 지구 과학 시간에 화산ㄹ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으로 분류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아이와 화산 관련 책을 읽다보니 휴화산이란 용어는 없더라구요. 휴화산이란 용어는 사용을 하지 않나요? 그렇다면 왜 사용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질학 관점에서 화산을 분류할때, 활동정도에 따른 분류와 형태에 따른 분류, 지리적 위치에 따른 분류로 나누는데..

      그 중에서도 활동 정도에 따라서..

      활화산(활동화산)은 말 그대로 지금 현재도 활동이 관측되고 있는 화산을 의미하며

      휴화산은 최근 수백년 동안 활동은 없지만 잠재적으로 다시 활동할 수 잇느 ㄴ화산을 의미하며, 언제든 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사화산(사막화산)은 수천년이상 활도잉 없고 더이상 활동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 화산을 의미하여 대체로 안전하다고 간주합니다.

      그외..형태에 따른 분류로는...실드화산, 현우암화산,칼데라 화산이 있고..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는 대륙화산과 해양화산이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휴화산은 화산 활동이 멈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언제든지 다시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화산을 말합니다. 사화산은 화산 활동이 완전히 중단된 화산을 말합니다.

      휴화산과 사화산은 분화의 위험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휴화산은 언제든지 다시 분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화산보다 위험합니다. 따라서, 휴화산은 사화산보다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휴화산과 사화산을 구분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화산 활동이 활발한 화산을 활화산이라고 하고, 화산 활동이 없는 화산을 사화산이라고 부릅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해당 화산이 죽지는 않았고 언젠가는 활동을 할 가능성이 있는 화산을 휴화산이라고 명명했었습니다.

      하지만 이 구분 및 정의 자체가 애매하고 기준이 없다 보니 논란이 많아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현재는 휴화산이란 용어 보다는 활화산이라는 용어로 사용합니다. 휴화산은 이전에 분화, 화산폭발한적이 있는 화산이 현재는 활동이 멈춰있는 화산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 화산이 언제 또 폭발할지 모르기 때문에 활화산으로 분류하기로하여 휴화산이라는 말보다 활화산을 씁니다.

    • 휴화산(hyowasan)은 옛날에 사용되던 화산 분류 용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확한 정의의 어려움: 휴화산은 활동 중이지 않지만, 미래에 다시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화산으로 정의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시점부터는 언제 다시 활동할지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불확실하다는 점 때문에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2. 비교적 덜 사용되는 용어: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화산의 활동 여부와 화산의 특성 등을 더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휴화산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화산 분류 방식 변화: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화산을 활동성, 분출 형태, 지질 특성 등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고 지정합니다. 이러한 정확한 분류가 화산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휴화산이라는 용어 대신 화산의 활동 여부와 다른 특성들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분류와 지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화산의 활동을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보다 유용하며, 안전과 환경 보호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휴화산(休火山)은 현재 분화를 멈추고 잠정적으로 활동이 중단된 화산을 말한다.


      여전히 활발히 활동 중인 것은 활화산이라고 칭하며, 만일 이 상태에서 지반이 완전히 안정되어 앞으로 더 이상 활동하지 않을 경우 사화산이 된다. 사화산은 최근 추세 상 마그마 방이 이동해서 일반 산이 되었으면 그냥 화산이었던 곳 정도로 인식하며[1] 휴화산과 활화산은 사실 한끗 차이로 휴화산도 마그마 방이 존재하여 수틀리면 언제든 분화가 가능하다.


      전술했듯이 사화산이라는 명칭은 편의 상 붙인 것이고 학계에서는 이미 해당 용어가 폐기되었음을 명심해야 한다. 현재 사화산이라고 불리는 모든 화산이라도 마그마 방이 확실히 이동한 것이 아니면 언제든 휴화산, 혹은 활화산으로 부활할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물론 시베리아 트랩 같은 곳들은 진작 마그마 방이 이동해서 그냥 화산이었던 곳 정도라 걱정 안 해도 된다.


      최근에는 역사 시대에 분출 기록이 있는 산은 휴화산이 아닌 활화산이라고 정의하기도 하며, 이 경우 백두산과 한라산, 후지산 등은 모두 활화산이 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휴화산과 사화산을 가르는 기준은 내부 마그마 활동의 유무라고 한다. 이 분류에 따르면 서울 - 원산 축선의 추가령 열곡과 제주도의 오름들, 울릉도의 나리 분지 등은 휴화산이 된다.


      한반도의 휴화산[편집]


      제주도(1002년 앞바다 비양도)

      울릉도(5000년 전 알봉): 최근 활화산으로 분류됨.

      오리산: 추가령 열곡의 북한 쪽에 있는 산으로, 비무장지대에 있어 연구를 못 한다.

      백두산: 2000년대 중후반까지는 휴화산으로 인정되었으나, 2003년부터 상태가 영 꺼림칙하기 때문에 2010년대 들어 활화산으로 분류됨.

      한라산: 백두산과 마찬가지로, 2014년부터 활화산으로 분류됨.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예전에는 화산을 기준으로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분류 체계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과학적 연구와 지진활동 모니터링의 발전으로 화산 활동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화산 분류의 관점도 변경되었습니다.

      현재는 화산의 활동 수준과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른 용어와 척도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활동성"은 화산이 현재 활동 중인 정도를 나타내며, "위험성"은 주변 지역에 대한 잠재적 위험 정도를 나타냅니다. 또한, "분화성"은 용암 분출의 가능성을 의미하며, "폭발성"은 폭발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휴화산이란 용어는 현재 지질학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휴화산은 과거에는 분출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분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화산을 말합니다. 하지만 휴화산이 언제 다시 분출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현재는 활화산과 사화산으로만 분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휴화산(休火山, 문화어: 멎은화산, 쉬는화산)은 지금은 활동을 하지 않지만, 언젠가는 활동을 할 것으로 보이는 화산을활화합니다.

      겉보기에는 사화산처럼 보이지만, 화산활동이 진행 중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최근의 지리학계는 휴화산이라는 개념 대신 활화산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