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날씬한오색조3
날씬한오색조3

기본적인 케인즈 및 고전적 경제학 이론

제가 경제학 전공이 아니라서 케인즈 학파 및 고전적 경제학 신고전학 파 등 경제학 이론의 역사를 요약해서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당 부분에 대하여는 제가 직접 설명을 드리는 것보다 아래 링크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간단하게 고전학파는 애덤스미스(보이지않는 손, 정부개입 배제), 케인즈 주의는 케인즈(정부의 적극적 개입), 신고전학파는 알프레드 마셜(정부의 개입 최소화)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https://www.a-ha.io/questions/436cdf4a92f031dc80d2ba58a80d97e6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케인즈 학파와 고전학파는 시소를 타듯 위기 때마다 경제학의 주류를 번갈아 왔다. 아담 스미스 이후 자유주의 경제학의 고전학파가 득세하다, 대공황을 계기로 케인지언에게 바통을 넘겼습니다.

    이후 케인지언은 오일쇼크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을 계기로 또 다른 고전학파인 시카고 학파에게 주류 자리를 내줬습니다. 그리고 시카고 학파는 다시 네오케인지언에서 자리를 물려주려 하고 있습니다.

    케인즈 학파는 과거 대공황 탈출의 핵심 경제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케인즈 학파는 '보이지 않는 손의 실패'를 주창하며 정부가 자유방임에서 탈피해 재정정책 등 적극적인 경제 정책을 수행해야 한다는 수정 자본주의를 이끌었습니다. 케인즈학파는 이후 30년간 경제학계의 근간을 형성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대공항이 닥친 1930년대 고전학파의 맹점을 비판하며 나선 것이 케인즈학파입니다. 민간 경제에 정부가 적극 개입하여 정부 지출을 늘림으로서 고용을 창출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통화주의 학파와 대립각을 아직도 세우고 있습니다.

    신고전학파는 고전학파의 이론을 계승한 것이고 산업혁명 이후 확대된 빈부격차, 실업, 독과점의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으나 대공황을 맞아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해 케인지안들에 엄청난 공격을 받게 됩니다.

    반복되는 경기침체, 산업구조 변동에 따른 경제 구조의 변경 등 경제의 큰 틀이 바뀌는 것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케인지안들도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난 1, 2차 오일쇼크로 발생한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신고전학파를 기반으로하는 통화주의학파의 공격을 받게 됩니다.

    이렇듯 경제사는 다이내믹하고 다소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현대 경제 운영은 두 학파의 절충선에서 맞서며 균형을 찾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가령, 레고랜드 사태 수습을 위해 당국이 40조원을 긴급히 지원하겠다는 것은 케인즈학파의 재정정책에 속하고 정부가 한국은행에 유동성을 직접 공급 요청을 한 것은 통화주의학파 관점에서 경기 부양책을 요구(한국은행 거부)한 것입니다.

    미연준의 금리 정책 또한 통화주의 학파의 이론에 기반했습니다. 두 학파의 태동과 다툼은 현대경제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선 신고전학파를 상세히 설명한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고 비전문가로서 경제사상사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 있는 아이디어"라는 책을 권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79253&cid=42085&categoryId=42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