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정조 아들 순조는 왜 "종"이 아닌 "조"인가요?
조선시대 왕들의 호칭을 정할 때 아버지가 왕이었으면 종, 그렇지 않은 경우는 조가 됩니다. 그런데 왕이었던 정조 아들 순조는 종이 아닌 조인데, 순조는 왜 "종"이 아닌 "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순조는 처음에는 묘호가 '순종'이었습니다. 순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묘호를 변경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순종에서 순조로 변경된 것은 순종 사후 헌종 3년(1857)에 이루어졌습니다. 지논녕 이학수, 영중추부사 정원용 등의 건의에 따라 "이단을 배척하고, 서학으로 부터 나라를 지키고, 서란(홍경래의 난)을 평정한 공"을 기려 묘효를 종에서 조로 바꾸었으며, 대한제국 때는 숙황제의 시호가 추가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이 종이 아닌 조가 된 경우는 여러가지 인데 우선 후대 왕에 의해서 선대왕의 업적이 인정 되면 종이 조가 되기도 합니다. 순조는 당시 외세 들로부터 나라를 구하고 홍경래의 난을 진압한 공을 인정 받아서 종에서 조로 묘호를 받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