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이후 농산물 관세 변화가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은?
한미fta이후 농산물 관세 변화가 국내 농업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주요 농산물의 관세 변화율과 농산물 생산량 및 가격변동 추이 등 영향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한미 FTA 이후 농산물 관세 변화가 국내 농업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긍정적으로는 대미 농산물 수출 증가와 수출 기회 확대, 그리고 일부 농가의 경쟁력 향상이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한미 FTA 체결로 대미 농산물 수출이 3.2조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미국 시장 개방으로 인해 한국 특유의 고품질 농산물 수출과 재미교포 대상 농산물 수출 기회가 증가했습니다. 또한, 일부 농가는 시장 개방 이후 오히려 개방 이전보다 높은 소득을 올리며 해외 수출을 늘리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부정적으로는 국내 농업 생산 감소와 육계 산업에 미친 영향이 있습니다. 관세 철폐로 인한 수입 농산물 증가로 일부 국내 농산물 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무역전환효과로 인해 국내 육계산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보완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농업분야 보완대책을 수립하고, 수입 급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 품목에 대해 농산물 세이프가드(ASG)를 도입했으며, 민감 품목에 대해서는 단계적으로 관세를 철폐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결론적으로, 한미 FTA로 인한 농산물 관세 변화는 국내 농업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쳤으며, 정부와 농업 부문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농산물 수출 기회 확대와 같은 긍정적 효과를 활용하면서도, 취약 분야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하여 전반적인 농업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농업은 한미 FTA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개방을 막았습니다. 다만 미국산 소고기에 대하여는 수입이 허용되면서 축산업계가 일부 타격을 입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축산물 외에는 크게 타격을 입은 곳은 많지 않다고 판단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뉴스를 참고부탁드립니다.
https://www.newsfar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39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