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이 늙어서(???) 치아 뿌리 쪽이 시린 증상이 있습니다. 병원에서 보험 처리가 되는 재료와 보험처리가 안 되는 레진 중에 고르라고 하는데...
잇몸이 늙어서(???) 치아 뿌리 쪽이 시린 증상이 있습니다. 병원에서 보험 처리가 되는 재료와 보험처리가 안 되는 레진 중에 고르라고 하는데...
가격 차이가 5배 정도 나네요.... 혹시 보험처리가 되는 재료로 붙이면 금방 떨어질까요??
치경부 마모로 인해 해당부위를 메꾸는 치료가 필요시에 gi는 보험이 되며, 레진은 보험이 되지 않습니다.레진이 치아와 더 유사하여 티가 덜나며, gi는 티가 더 날수 있어 보통 어금니와 같은 보이지 않는 부위는 gi로 하고, 보이는 부이는 레진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i 가 더 잘 떨어지는 것은 아니기에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
치과에서 보험이 적용되는 GI라고 하는 충전 재료가 있습니다. 보험이 적용된다고 해도 너무 약한 것은 아니고 레진보다는 약할 수 있지만 관리를 잘하면 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김철진입니다. 보험되는 재료가 쉽게 떨어지진 않지만, 심미적인 부분에서 레진보다는 안좋습니다. 일단은 보험되는 재료로 치료를 해보세요.
치아 뿌리 부분이 패였거나 노출된것 같습니다
해당부위는 주로 치아 바깥쪽에 붙이거나 때우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탈락 위험이 있는 부위입니다
보험재료를 선택하셔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부위입니다
보험처리 되는 재료를 붙이면 아무래도 비보험 재료보다는 잘 떨어지고 심미성도 부족하기는 합니다.
장단점을 따져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보험되는재료는 색상에서 치아와 좀 구분되는 단점은 있습니다 보험안되는 레진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떨어지고 강도가 강하고 그런건 아닙니다
얼마나 마모가 심한지, 양치질습관등에 따라 레진을 하고서도 금방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